"16951229"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6-02-02 | |양력=1696-02-02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512.pdf#page=9}}}}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 }}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수신]][[분류:문예]][[분류:가족]][[분류:송신]][[분류:거왕]] |
2020년 2월 3일 (월) 23:01 기준 최신판
1695년 12월 29일 | ||
← 이전 | 다음 → | |
1695년 12월 28일 | 乙亥년 己丑월 丁巳일, 양력 1696-02-02 | 1696년 1월 1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5년 12월 29일
二十九日 丁巳
흐리다 맑음
陰陽
송광조(宋光朝)인물가 갔다. 26일에 혼례를 치르기로 했으나 영암군수인물가 마침 딸의 상을 당하여 새해 초 2일에 치르기로 했기 때문이다. 즉시 돌아가기에 서울공간로 보낼 편지를 써서 부쳤다.
宋光朝去 蓋卄六昏日而朗倅適遭女喪 將以新年初二行禮 卽當復路 修付京書
○흥아(興兒)인물가 <Person id="P0114" name="김남식_처">김(金) 녀(女)내행(內行)인물</Person>을 이끌고 돌아왔다. 풍편(風便)을 통해 서울공간 아이들의 편지를 받았다.
○興兒率內行還 因風便得京中兒輩書
○흥아(興兒)인물의 〈과세(過歲)〉 시에 차운(次韻)했다.
한 해가 내달리는 수레바퀴 같아
돌고 돌아 그침이 없네
너는 어찌 한결같이 열심이냐
잠깐 왔다가 바로 돌아가는구나
괴롭고 괴로운 한평생
한해를 맞고 한해를 보낸 것이 얼마나 되는지 아느냐
가거라, 슬퍼할 필요 없네
내 장차 운세에 맡기리라
원운(元韻)은 다음과 같다.
올해가 오늘로 끝나는데
너는 어디로 돌아가느냐
사철이 번갈아 바뀌어
철이 차면 바로 떠나가네
요사이의 소식이
아득히 또 어떠하신지
이제 60세의 봄을 맞아
갑자가 돌아오는 것을 다시 보시네
○次興兒過歲韻
四序如飛輪
回斡無停處
問爾一何苦
乍來卽還去
勞勞百年間
迎送知幾許
去矣不須嗟
吾將任元會
元韻
今年今日盡
借問歸何處
四時迭相代
成功者乃去
消息於此間
悠悠只如許
從玆六十春
復見星躔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