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5092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5-10-29 | |양력=1695-10-29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509.pdf#page=10}}}}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인물]][[분류:기상]][[분류:선물]][[분류:농사]] |
2020년 2월 3일 (월) 23:01 기준 최신판
1695년 9월 22일 | ||
← 이전 | 다음 → | |
1695년 9월 21일 | 乙亥년 丙戌월 辛巳일, 양력 1695-10-29 | 1695년 9월 23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5년 9월 22일 신사
二十二日 辛巳
비
雨
가을 가뭄이 한 달 넘게 계속되어 보리를 갈 수 없었는데, 이 비를 얻으니 다행이다. 하지만 1호미자락도 내리지 않았으니 안타깝다.
秋旱踰月 不能耕牟 得此可幸 而未及一鋤 可嘆
정(鄭) 생(生)인물도 ■■했다.
鄭生亦■
송정(松亭)공간의 박준현(朴俊賢)인물, 목장(牧場)공간[1]의 임상린(林尙嶙)인물, 임상민(林尙岷)인물, 정■■(鄭■■)인물가 왔다. ■…■ 정(鄭)은 관산(冠山)공간에서 옥천(玉泉)공간으로 거처를 옮겼다가 이곳으로 왔는데, 학장(學長)개념 ■…■.
松亭朴俊賢牧場林尙嶙林尙岷鄭■■林■■寓 鄭自冠山移寓玉泉 轉到于此 爲學長■…■
주석[ ]
- ↑ 목장(牧場): 진도 내에 소재했던 국역 목장인 진도 목장을 가리킴. 본 목장은 관마리 인근 산에 소재했고 감목관은 인근의 인지리에 소재했으며, 첨찰산 및 해남 화원 등지에 속장도 운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