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7112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이동: 둘러보기, 검색
(import)
(import)
 
42번째 줄: 42번째 줄:
 
<references/>
 
<references/>
  
[[분류:유숙]][[분류:술수]][[분류:행로]][[분류:방문]][[분류:관찰]]
+
[[분류:유숙]][[분류:관찰]][[분류:행로]][[분류:방문]][[분류:술수]]

2020년 2월 3일 (월) 23:03 기준 최신판


16971121
← 이전 다음 →
1697년 11월 20일 丁丑년 壬子월 丁酉일, 양력 1698-01-02 1697년 11월 22일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7년 11월 21일 정유
二十一日 丁酉
맑음
여명(黎明)에 출발하여 간두리(幹頭里)공간에서 아침을 해먹었다. 박선교(朴善交)인물가 산소를 살펴보고 말하기를 “이 땅은 지나치게 좁으나 자못 귀격(貴格)이 있고 용세(龍勢)도 미약하지만 형국이 온화하여 등급을 논하자면 차하(次下)보다 낫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태하(太下)에 혈을 쓰면 생왕지기(生旺之氣)를 이을 수 없어 필시 발복(發福)하기는 어려울 것이니, 참으로 안타깝습니다.”라고 하였다. 또 내 고비(考妣)의 묘가 두 무덤 사이에 있는데 이것이 소위 양귀결시(兩鬼挗屍)개념[1]여서 옛사람들이 크게 꺼리는 것이었다. 이에 박선교인물는 고비 묘 위로 10장 쯤 되는 곳에 새로운 혈을 천점(扦點)하고 나무를 꽂아 표시를 하고서는 속히 묏자리를 옮길 것을 청하였다. 듣자 하니 몹시 걱정되었다. 향(向)을 봉수산(烽燧山)공간으로 쓰면 기운을 잃을 것이니 내안산(內案山)개념일자문성(一字文星)개념[2]안대(案對)개념[3]로 하는 것만 못하다고 하였다.
黎明發 朝炊幹頭里 審視山所曰 此地過峽 頗有貴格 龍勢亦嫩 形局蘊藉 若論等第 則優可爲次下 但用穴太下 不能承接生旺之氣 必不能發福 極可惜也 且 吾考妣墓間於兩墓之間 此所謂兩鬼挗屍 古人所大忌 仍扦新穴於考妣墓上十丈之許 揷木以標 請速移奉 聞來極可悶慮 向則用烽燧山甚失之 不如以內案一字文星爲對云云
계속 가던 길을 향해 좌일(佐一)공간에 도착하였다. 북쪽 언덕에 올라 묘향(卯向)으로 혈을 점찍고 (박선교인물가) 말하기를 “이곳은 노룡희주(老龍戱珠)개념 형국입니다. 참으로 귀격(貴格)이니 삼하(三下)의 등급이라 할 만합니다. 용이 쥔 구슬은 바다 가운데 주먹만 한 작은 섬공간입니다.”라고 하였다.
仍向前路 到佐一 登北隴上 點卯向之穴曰 此是老龍戱珠 眞貴格 可爲三下 珠如一拳小島在水中
논정(論亭)공간에 도착하여 사정(射亭)공간 뒤쪽의 고개에 올라 이른바 '사정등(射亭登)'을 보고 (박선교인물가) 말하기를 “이 땅은 꽤 좋으니 결코 버려서는 안 됩니다. 안산개념은, 축봉(丑峰)으로 삼으면 될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到論亭 登射亭後嶺 見所謂射亭登曰 此地頗好 決不可捨 案則以丑峰爲之云
운주동(雲住洞)공간에 도착하여 잠시 물품을 먹이고 바로 출발하였다. 평촌(坪村)공간 문장(門長)인물 댁에 도착하니 밤이 어느새 이슥하였다.
到雲住洞 暫秣卽發 到坪村門長宅 夜已稍久
서흥(瑞興) 영감인물, 윤성빈(尹聖賓)인물과 사랑(斜廊)에서 함께 잤다.
與瑞興令尹聖賓同宿斜廊
간두(幹頭)공간에 점찍어 둔 혈은 지나치게 낮은 것이 흠이다. 그러나 가을에 낙엽 지는 것까지 걱정할 정도는 아니다. 높게 점지하면 발복(發福)이 필시 적지 않을 것이라고 하였다.】
【幹頭點穴過低是欠 而秋敗非所慮 高點則發福必不少云】
























주석[ ]

  1. 양귀결시(兩鬼挗屍) : 두 귀신이 시체를 다투는 형국
  2. 일자문성(一字文星) : 풍수 용어. 한 일자 모양의 문성(文星)을 가리킴
  3. 안대(案對) : 풍수 용어. 안산이나 조산의 봉우리와 무덤의 방향을 일치시키는 좌향법을 가리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