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61025

jiamdiary
162.158.190.12 (토론)님의 2019년 12월 4일 (수) 14:57 판 (import)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16961025
← 이전 다음 →
1696년 10월 24일 丙子년 己亥월 戊申일, 양력 1696-11-19 1696년 10월 26일


{{{1}}} {{{2}}}


1696년 10월 25일 무신
二十五日 戊申
맑음
김삼달(金三達)인물이 와서 문안하였으나 병중이라 만나지 못했다.
金三達來問 病不見
백치(白峙)공간 댁의 노(奴) 기준(起浚)노비서울공간에서 왔다. 아이들이 14일에 보낸 편지를 보고는 종아(宗兒)인물의금부개념의 좌기를 겪은 것이 이미 네 차례가 되었다는 걸 알았다. 아이들의 편지에서 매번 물론(物論)이 느슨해져 오래지 않아 추국장에서 나올 것이라고 말했는데 일의 분위기가 아직 이러하니, 뜸한 소식이지만 듣는 것보다 듣지 않는 편이 낫겠다. 실로 무슨 말을 할 수 있겠는가.
○白峙宅奴起浚自京來 見我輩十四出書 知宗兒又經禁坐 已至四度 兒輩書每言 物議已緩 匪久當出場 而事機尙如此 久阻消息 聞不如不聞 何可言何可言
종아인물가 자기 형에게 보낸 소찰(小札)과 옥중에서 읊은 여러 시를 보았는데, 시상(詩想)이 편안하면서 여유롭고 정신이 굳건했다. 이 점이 위로가 되어 기쁘기는 하지만 편지를 붙들고 눈물 흘리니 심경이 더욱 어지러워졌다.
且見宗兒抵其兄小札及獄中所吟諸作 語意安閑 精神堅定 是可慰喜 而執書以泣 心境益撓亂
그 아들 세원(世願)인물이는 아프지는 않지만 기운을 다 빼고 먹지를 않아 쓰러졌다고 하니 더욱 놀라고 걱정되어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其子世願不痛 而氣憊不食委頓 尤可驚慮 不知所言
정여(靜如)인물에게 심부름꾼을 보내 안부를 묻고 약간의 찬거리를 보냈다. 안(安) 생(甥)인물이 함께 갔다.
○專伻靜如以問 且送若干饌物 安甥偕往
○노(奴) 개일(開一)노비신공(身貢)개념을 징수하는 일로 전라좌도로 출발했다.
○奴開一以收貢事 發向左道
윤동미(尹東美)인물진도공간에서 돌아오면서 나를 보러오는 김에 정 대감인물의 편지를 전해주었다.
○尹東美自珍島還來見 仍傳鄭台書
○영암군수 목천기(睦天淇)인물가 22일에 갑자기 발제(髮際)개념에 종기를 앓다가 24일 술시(戌時)에 죽었다. 이 분은 바로 내 육촌 친척이고 연세가 올해 66세다. 관직 생활 동안 명성이나 공적은 없었지만 잘못한 정사도 없었는데 지금 갑자기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참담하도다. 참담하도다.
○靈巖郡守睦天淇卄二日猝患髮際腫 二十四日戌時不救 此乃吾六寸親而年今六十六 莅官無聲績 亦無疵政 而今忽至此 慘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