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70127"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 | + | [[분류:내방]][[분류:노비]][[분류:수신]][[분류:경사]][[분류:추노]][[분류:가족]][[분류:귀환]][[분류:소식]][[분류:거왕]] |
2020년 2월 3일 (월) 23:02 기준 최신판
1697년 1월 27일 | ||
← 이전 | 다음 → | |
1697년 1월 26일 | 丁丑년 壬寅월 己卯일, 양력 1697-02-18 | 1697년 1월 28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7년 1월 27일 기묘
二十七日 己卯
눈이 몇 차례 어지러이 날려 쌓임. 간간이 약한 햇빛이 남
亂雪陣陣頹積 微陽時時透照
靈光李茠李厚植有推奴事於海南 遇雪而入覓喫點心而去
○일백(一白)노비이 거제도공간에서 돌아왔다. 종아(宗兒)인물가 8일에 유배지에 도착하여 현의 서쪽 둔덕촌(屯德村)공간에 임시로 거처하는데 일단 큰 병은 없다 하니 약간 위로가 되었다.
○一白自巨濟還 宗兒初八到配 寓居縣之西屯德村 姑無巨恙 稍可慰也
○해남공간의 하리(下吏) 유성언(兪聖言)인물이 고목(告目)개념과 함께 관문(關文)개념을 보내왔다. 함경도에서 납속(納粟)개념하여 진휼을 도운 자 900여 명을 조정에서 모두 면천해주고 노비의 주인은 진휼청개념에서 그 값을 받게 하였는데, 그 가운데 삼수(三水)공간의 비(婢) 만월(萬月)노비, 노(奴) 만장(萬長)노비, 만기(萬己)노비, 순선(順善)노비의 주인 이름이 해남(海南)공간의 전(前) 참의(參議)개념 윤(尹) 아무개인물로 기록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을묘년의 화회문기개념를 살펴보니 각 댁의 몫으로 받은 명단에 없었다. 삼수공간는 워낙 멀어서 노(奴)를 보내서 신공(身貢)개념을 받지 못한 지가 오래되었고 노비의 소생도 알 수가 없다. 이른바 만월노비 등은 부모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니, 문기(文記)에 만월노비 등의 이름이 없는 것도 이상할 것이 없다. 부득이 이러한 내용으로 고목개념에 회제(回題)[1]하도록 하여 보냈다.
○海南下吏兪聖言告目且送關文 咸鏡道納粟補賑者九百餘人 朝家皆爲免賤 使各其奴婢主受價錢於賑廳 其中三水婢萬月奴萬長萬己順善主名 以海南前參議尹某顯錄故也 憑考乙卯和會文記 各宅衿中無是名 三水道里絶遠 不能送差奴收貢已多年 奴 婢所生無以知之 而所謂萬月等 不書父母之名 文記中無萬月等之名 無足怪也 不得已以此意回題告目以送
주석[ ]
- ↑ 회제(回題): 고목의 보고에 대한 처분을 한쪽에 써서 회신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