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31007"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3-11-04 | |양력=1693-11-04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310.pdf#page=3}}}}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가족]][[분류:잉유]][[분류:내방]][[분류:관찰]] |
2020년 2월 3일 (월) 10:36 판
1693년 10월 7일 | ||
← 이전 | 다음 → | |
1693년 10월 6일 | 癸酉년 癸亥월 丁丑일, 양력 1693-11-04 | 1693년 10월 8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3년 10월 7일 정축
七日 丁丑
맑음
陽
딸인물이 내가 조사를 받기 위하여 잡혀왔다(就拿)는 것을 듣고 며칠 전에 괴산(槐山)공간에서 올라왔다. 창서(尹昌緖)인물, 종서(尹宗緖)인물, 두서(斗緖)인물와 세 며느리가 각자 아이들을 데리고 와서 만났다. 여러 해 동안 떨어져 있은 뒤에 이렇게 단란하게 모일 기회를 가지니, 나의 이번 행정(行程)이 불행에서 비롯되었지만 도리어 얻기 어려운 만남을 하게 되어 진실로 다행스럽다.
女息聞我就拿 數日前自槐山上來 昌宗斗三子婦各率兒屬來見 積年暌離之餘 得此團會之便 吾之此行 雖出不幸 而還爲難得之會 良可幸也
○종제(從弟) 주부(主夫)개념 정규상(鄭奎祥)인물, 생원개념 이동원(李東源)인물, 용산(龍山)공간의 생원개념 이후번(李后藩)인물, 주부(主簿)개념 이현수(李玄綏)인물, 이준방(李俊芳)인물 생, [[" />도사 <Person id="P1697" name="이형징2|이형징(李衡徵)]]개념, 이조개념 참의개념 민창도(閔昌道)인물, 종제 이대원(李大原)인물, 감역(監役)개념 송기창(宋耆昌)인물, 진사개념 이정양(李挺揚)인물이 왔다.
○從弟鄭主夫奎祥 李生員東源 龍山李生員后藩 李主簿玄綏 李生俊芳 李都事衡徵 吏議閔昌道 李從弟大原 宋監役耆昌 李進士挺揚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