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30904"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3-10-03 | |양력=1693-10-03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309.pdf#page=1}}}}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수신]][[분류:상례]][[분류:선물]][[분류:소식]][[분류:내방]][[분류:가족]] |
2020년 2월 3일 (월) 10:36 판
1693년 9월 4일 | ||
← 이전 | 다음 → | |
1693년 9월 3일 | 癸酉년 壬戌월 乙巳일, 양력 1693-10-03 | 1693년 9월 5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3년 9월 4일 을사
四日 乙巳
아침에 흐리고 비가 오다가 오전 늦게 맑음.
朝來陰雨 晩後陽
○창서(尹昌緖)인물, 두서(斗緖)인물가 서울공간에서 내려와서 기쁘기 그지없다. 다만 김녀(金女)인물는 그 시댁에서 허락하지 않아서 노(奴)와 말이 헛걸음하고 돌아오게 했으니 안타까움과 아쉬움이 이루 말할 수 없다.
○昌緖斗緖自京下來 喜豁不已 但金女以其舅家不許 令奴馬空還 歎缺可言
○정(正) 이인빈(李寅賓)인물, 주서(注書)개념 이덕운(李德運)인물, 진사(進士)개념 이복운(李復運)인물, 창락(昌樂)공간 찰방(察訪)개념 김만형(金萬衡)인물, 박사(博士)개념 이류(李瀏)인물, 생원개념 나두추(羅斗秋)인물, 진사(進士)개념 나두동(羅斗冬)인물, 생원개념 조휘석(趙徽錫)인물 교관(敎官)개념 이도근(李道根)인물, 진사개념 김세황(金世璜)인물, 종제 정문상(鄭文祥)인물, 정태상(鄭台祥)인물, 도사(都事)개념 노사제(盧思齊)인물, 생원(生員)개념 황덕하(黃德河)인물, 종제 이장원(李長源)인물, 이만원(李萬源)인물, 예산(禮山)인(人) 원필균(元必均)인물, 원봉서(元鳳瑞)인물가 조문편지(弔疏)를 써서 위문하였다.
○李正寅賓注書李德運 進士復運 昌樂察訪金萬衡 博士李瀏 生員羅斗秋 進士羅斗冬 生員趙徽錫 敎官李道根 進士金世璜 從弟鄭文祥台祥 都事盧思齊 生員黃德河 從弟李長源萬源 禮山人元必均元鳳瑞修弔疏以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