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30204"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3-03-10 | |양력=1693-03-10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302.pdf#page=2}}}}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 | + | [[분류:봉상]][[분류:인물]][[분류:내방]][[분류:가족]][[분류:노비]] |
2020년 2월 3일 (월) 10:35 판
1693년 2월 4일 | ||
← 이전 | 다음 → | |
1693년 2월 3일 | 癸酉년 乙卯월 戊寅일, 양력 1693-03-10 | 1693년 2월 5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3년 2월 4일 무인
四日 戊寅
맑음
陽
윤시상(尹時相)인물이 왔다.
尹時相來
○흥양(興陽)공간에 사는 추경(秋京)노비은 곧 양외가(養外家)[1]에서부터 전해 내려온 노(奴)인데, 벼물품 100섬으로 속량을 청하였다. 바치는 곡식 규모로 볼 때, 본인만이 아니라 여러 가솔들까지 포함한 금액인 듯하다. 그는 10여 마리의 소물품를 몰고 와서 벼물품 63섬으로 바꾸어 우선 바쳤다.
○興陽居秋京乃自養外家傳來奴也 請自贖以租百石定價 渠驅十餘牛而來 貿租六十三石 先納
○古今島李生員宅船 上京米十石付載
주석
- ↑ 양외가(養外家): 양어머니의 친정. 즉 윤이후의 양아버지인 윤예미(尹禮美)의 처가를 가리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