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50727"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5-09-05 | |양력=1695-09-05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507.pdf#page=10}}}}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질병]][[분류:수신]][[분류:인물]][[분류:생사]][[분류:귀환]][[분류:잉유]][[분류:소식]][[분류:내방]][[분류:가족]] |
2020년 2월 3일 (월) 10:37 판
1695년 7월 27일 | ||
← 이전 | 다음 → | |
1695년 7월 26일 | 乙亥년 甲申월 丁亥일, 양력 1695-09-05 | 1695년 7월 28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5년 7월 27일 정해
二十七日 丁亥
오후에 비
午後雨
전 풍덕부사 이하징(李夏徵)인물이 모친상을 당해 장사를 지낸지 얼마 안 되어 자신도 연달아 서거하였다고 한다. 몹시 처참하다.
李豐德夏徵遭母喪才過葬 身又繼逝云 慘慘
○興兒還 聞元方病已差 而睦相別室所患萬分危劇云 爲睦爺可慮
○문장(門長)인물이 또 갑작스레 편지를 보내 다시 논정(論亭)공간을 빼앗아 쓰려는 뜻을 내비췄다. 나는 결코 허락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답장을 보냈다. 말썽부리는 것이 이와 같으니 괴롭다.
○門長又忽送書 復爲奪用論亭之意 余以斷不可許之意答 而生梗又如此苦哉
정(鄭) 생(生)인물이 와서 숙위했다.
鄭生來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