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4030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4-03-31 | |양력=1694-03-31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403.pdf#page=4}}}}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상례]][[분류:내방]][[분류:사인]][[분류:수신]][[분류:인물]][[분류:행로]][[분류:방문]][[분류:가족]][[분류:소식]][[분류:역사]] |
2020년 2월 3일 (월) 23:00 기준 최신판
1694년 3월 6일 | ||
← 이전 | 다음 → | |
1694년 3월 5일 | 甲戌년 戊辰월 甲辰일, 양력 1694-03-31 | 1694년 3월 7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4년 3월 6일 갑진
六日 甲辰
흐리다 맑음
陰陽
윤필후(尹弼厚)인물가 이른 아침에 다시 찾아와 만났다.
尹弼厚早朝又來見
○朝飯後發 到松川村前 招出約正李斗萬 分付役軍調發之意
○신포(新浦)의 번와소(燔瓦所)공간에 들려 최도익(崔道翊)인물과 잠시 이야기하고 왔다. 최 공(公)은 나와 힘을 합쳐 기와물품를 굽기로 약속하였는데, 내가 송첩(松帖)물품과 역군(役軍)을 맡고 최도익(崔道翊)인물이 역량(役粮)을 맡아 기와(瓦)물품를 번조(燔造)하여 반반씩 쓰기로 하였다.
○抵新浦燔瓦所 與崔道翊暫話而來 蓋崔公約與我同力燔瓦 我得松帖及役軍 崔掌役粮而燔造 以爲分半用之之計
○別將奴自京還 得兒輩書 粗安可喜
파주(坡州)공간의 산역(山役)은 의견이 많아 장기(葬期)를 정하지 못하였다니 걱정이다.
而坡州山多議 葬期未定 可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