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31028"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3-11-25 | |양력=1693-11-25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310.pdf#page=16}}}}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 }}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기상]][[분류:관찰]][[분류:잉유]][[분류:경사]] |
2020년 2월 3일 (월) 22:59 기준 최신판
1693년 10월 28일 | ||
← 이전 | 다음 → | |
1693년 10월 27일 | 癸酉년 癸亥월 戊戌일, 양력 1693-11-25 | 1693년 10월 29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3년 10월 28일 무술
二十八日 戊戌
새벽 무렵에 천둥번개가 치고 우박이 내림.
曉頭雷電雨雹
예조(禮曹)개념의 대문 밖 버드나무가 벼락을 맞았다고 하였다. 오늘은 세자의 탄신일인데, 기미년(己未年)과 무진년(戊辰年)에도 모두 겨울 번개가 있어서, 그것을 근심하는 이들이 많았다. 임금인물께서 직접 비망기개념를 지어 경외에 명령을 내려 죄인을 너그럽게 처결하게 하였다.
聞禮曹大門外柳樹雷震云 今日乃世子誕日 而己未戊辰皆有冬雷 人多憂之 上親製備忘記 令京外疏決罪人
○교관(敎官)개념 심홍필(沈弘弼)인물, 진사(進士)개념 심일관(沈一觀)인물, 심일회(沈一會)인물 생(生), 진사(進士)개념 이정양(李廷揚)인물, 참봉(參奉)개념 이수만(李綏晩)인물, 정자(正字)개념 이의만(李宜晩)인물, 양천(陽川) 현감(縣監)개념 이이만(李頤晩)인물, 군자판관(軍資判官)개념 한종건(韓宗建)인물, 주서(注書)개념 이덕우(李德遇)인물, 사복판관(司僕判官)개념 강석신(姜碩臣)인물, 사복주부(司僕主簿)개념 종제(從弟) 정규상(鄭奎祥)인물, 예조참의(禮曹參議)개념 강선(姜銑)인물, 전 참의(參議)개념 강현(姜鋧)인물, 이정목(李庭睦)인물, 이정집(李庭輯)인물 생, 이인두(李寅斗)인물, 진사(進士)개념 이인규(李寅奎)인물, 윤천휴(尹天休)인물 생, 진사(進士)개념 홍만통(洪萬通)인물, 종제(從弟) 이대원(李大源)인물, 예빈봉사(禮賓奉事)개념 종형(從兄) 최태기(崔泰基)인물, 초관(哨官)개념 임일주(林一柱)인물, 윤석후(尹錫厚)인물, 출신(出身)개념 노일상(魯日祥)인물이 왔다.
○沈敎官弘弼 沈進士一觀 沈生一會 李進士廷揚 李參奉綏晩 李正字宜晩 陽川縣監李頤晩 軍資判官韓宗建 李注書德遇 司僕判官姜碩臣 司僕主簿鄭從弟奎祥 禮曹參議姜銑 前參議姜鋧 李生庭睦庭輯 李寅斗 李進士寅奎 尹生天休 洪進士萬通 李從弟大源 禮寅奉事崔從兄泰基 硝官林一柱 尹錫厚 出身魯日祥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