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3100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3-11-03 | |양력=1693-11-03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310.pdf#page=2}}}} |
{{LayoutDiary | {{LayoutDiary | ||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 | + | [[분류:내방]][[분류:유숙]][[분류:인물]][[분류:관찰]][[분류:행로]][[분류:가족]][[분류:소식]] |
2020년 2월 3일 (월) 22:59 기준 최신판
1693년 10월 6일 | ||
← 이전 | 다음 → | |
1693년 10월 5일 | 癸酉년 癸亥월 丙子일, 양력 1693-11-03 | 1693년 10월 7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3년 10월 6일 병자
六日 丙子
맑음
陽
흥아(興兒)인물가 왔다.
興兒出來
이른 아침밥을 먹고 나루(노량진)공간를 건넜다. 주교(舟橋)공간에 이르러 마중 나온 두서(斗緖)인물를 만났다. 전부(典簿) 형님인물의 병이 조금 나았다고 들으니, 참으로 다행이다.
早食後渡津 到舟橋逢斗緖出迎 聞典簿兄主病患稍勝 極幸極幸
남대문(南大門)공간 밖의 의막(依幕)물품에 머무르기로 했는데, 다름 아닌 계천(戒天)인물의 집이다. 계천(戒天)인물은 나와 미장동(美墻洞)공간의 같은 리(里)에서 살던 사람으로, 정이 든 지 오래되었다. 반가운 눈으로 서로 만나니 인정이 기뻤다.
就寓南大門外依幕 卽戒天家也 戒天乃我美墻洞同里人 顔情之熟久矣 靑眼相視 人情可喜
○참판개념 이시만(李蓍晩)인물과 그 아들 진사개념 이하원(李夏源)인물, 함평(咸平)공간의 심방(沈枋)인물, 박사(博士)개념 이류(李瀏)인물, 초관(哨官)개념 윤석후(尹錫厚)인물, 초관개념 임일주(林一柱)인물, 최정철(崔廷哲)인물 생(生), 학관(學官)개념 윤직미(尹直美)인물, 정랑(正郞)개념 심탱(沈樘)인물, 옥과(玉果)개념 이훤(李藼)인물과 그 아들 선달(先達)개념 이정규(李挺揆)인물가 왔다.
○李參判蓍晩 其胤進士夏源 沈咸平枋 李博士瀏 尹哨官錫厚 林哨官一柱 崔生廷哲 尹學官直美 沈正郞樘 李玉果藼 其胤先達挺揆來
진사개념 이정양(李挺揚)인물, 주서(注書)개념 이덕운(李德運)인물, 정자(正字)개념 이도원(李道原)인물, 도사(都事)개념 이형징(李衡徵)인물, 류기서(柳起瑞)인물 생, 별장(別將)개념 윤동미(尹東美)인물, 동상(東床)개념 김남식(金南拭)인물과 그 형 진사개념 김남정(金南挺)인물, 생원(生員)개념 김남채(金南採)인물가 왔다.
進士李挺揚 李注書德運 李正字道原 李都事衡徵 柳生起瑞 尹別將東美 東床金南拭 其兄進士南挺 生員南採來
주석[ ]
- ↑ 구일제(九日製): 매해 중양절에 치르는 과거시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