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30520"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3-06-23 | |양력=1693-06-23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305.pdf#page=6}}}}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상례]][[분류:선물]][[분류:문예]][[분류:소식]][[분류:농사]] |
2020년 2월 3일 (월) 22:59 기준 최신판
1693년 5월 20일 | ||
← 이전 | 다음 → | |
1693년 5월 19일 | 癸酉년 戊午월 癸亥일, 양력 1693-06-23 | 1693년 5월 21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3년 5월 20일 계해
二十日 癸亥
맑음
陽
저치미(儲置米)개념 문제에 관한 관문(關文)물품을 받아보았다. 유용(那移)하거나 아직 받아들이지 않은 수령은 감영(營門)에서 결장(決杖, 장형을 집행함)하는데, 내 경우는 상(喪) 전에 범한 것이라 속전(贖錢)을 걷는데 함평현에서 마련하여 바쳤다고 한다.
儲置米事 得見關文則 那移及未捧守令 營門決杖 余則以喪前所犯收贖 自咸平縣備納云云
○靈岩戶長金時泰吏房金聲大 賻木二疋 白紙三卷 黃燭二雙 具單送來
○용이(龍伊)노비가 △마지기에 모내기를 했다.
○龍伊移秧△斗落
앞에 이른바 어제(御製) 시 두 수는 새문안(新門內)의 대궐공간에 집을 새로 짓고 신헌(新軒)에서 지은 것이다. 그 시는 다음과 같다.
뭇 학자 기꺼이 끊임없이 이르러
이제 조정의 반열 날로 청명하여
현인을 믿고 변함없이 밝은 경계를 내리니
때를 만나 모름지기 한결같은 성의를 믿어야지
아침마다 자세히 내 자신을 반성하니
치우친 처신은 항상 조급함에서 나오네
독의 근원을 제거하려면 어디에 힘써야 할까
모름지기 함양에 배의 노력을 더해야지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잘못된 이름입니다, 너무 많은 등
向前所謂御製兩首 乃新門內大闕新搆而 新軒題詠也 其詩曰
群彦方欣已彙征
卽今朝著日淸明
任賢勿貳垂昭戒
際會要孚一箇誠
又
朝朝仔細省吾躬
偏處恒由躁暴中
欲去毒源何着力
須將涵養倍加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