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3040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3-05-09 | |양력=1693-05-09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304.pdf#page=2}}}}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상례]][[분류:내방]][[분류:사인]][[분류:관찰]][[분류:귀가]] |
2020년 2월 3일 (월) 22:59 기준 최신판
1693년 4월 5일 | ||
← 이전 | 다음 → | |
1693년 4월 4일 | 癸酉년 丁巳월 戊寅일, 양력 1693-05-09 | 1693년 4월 6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3년 4월 5일 무인
五日 戊寅
흐림
陰
진시(辰時)에 구분(舊墳)을 파낸 후 이어서 금정(金井)을 파고 관을 묻을 구덩이를 팠다. 흙빛은 누런빛을 약간 띤 흰색이다. 견실하고 빛나는 윤기가 있으며 모래 한 점 없었다. 여섯 자 정도 파자 구광(舊壙) 측면의 석회가 끝났다. 거기서 작은 구멍을 뚫어 살펴보니 구덩이 안에는 별 탈이 없다. 매우 다행이다. 바로 석회로 채우고 석회로 쌓도록(築灰) 명했다. 구광(舊壙) 측면 회물품의 두께가 겨우 1촌(一寸) 정도다. 처음에 장사지낼 때 후일의 여지를 위하여 이 측면 회물품의 두께를 이처럼 얇게 한 것 같다.
辰時破舊墳 仍爲開金井穿壙 土色微黃而白 堅實光潤 無一點砂 穿至六尺許 則舊壙傍灰下底盡 自盡處穿小穴審之 則壙中無事 極可幸 卽以灰塞之 仍令築灰 舊壙傍灰之廣菫一寸 想當初葬時爲後日地 此邊傍灰如是之薄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