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20819"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2-09-29 | |양력=1692-09-29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208.pdf#page=4}}}}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제례]][[분류:내방]][[분류:가족]][[분류:건축]] |
2020년 2월 3일 (월) 22:58 기준 최신판
1692년 8월 19일 | ||
← 이전 | 다음 → | |
1692년 8월 18일 | 壬申년 己酉월 丙申일, 양력 1692-09-29 | 1692년 8월 20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2년 8월 19일 병신
十九日 丙申
흐리다가 맑음. 바람이 사나움.
陰陽風緊
<Term id="M569" name="진사">진사(進士)인물</Person>가 나왔다.
進士出來
○오후에 석물(石物)물품을 세우고 제사를 지냈다. 또 산신(山神)개념께 제를 올렸다. 모두 <Term name="축문">축문</Term>을 사용하였다. 근거할만한 옛 제도는 없지만, “일이 있으면 고한다(有事則告).”는 조목으로 보면, 결코 <Term name="축문">축문</Term>으로 고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석물(石物)물품을 세운다는 내용을 간략히 더해서 <Term name="축문">축문</Term>을 지어서 사용하였다.
○午後立石物 行祭 且祭山神 幷用祝文 古無可據 而以有事則告觀之 則決不可不以祝告 故以立石之意略加意 造而用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