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9030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9-03-31 | |양력=1699-03-31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903.pdf#page=1}}}}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 | + | [[분류:내방]][[분류:인물]][[분류:제례]][[분류:역과]][[분류:소식]][[분류:거왕]][[분류:풍문]] |
2020년 2월 3일 (월) 23:04 기준 최신판
1699년 3월 1일 | ||
← 이전 | 다음 → | |
1699년 2월 29일 | 己卯년 戊辰월 庚午일, 양력 1699-03-31 | 1699년 3월 2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9년 3월 1일 경오
一日 庚午
맑음
陽
새벽에 승의랑(承議郞) 할아버지인물의 기제를 모셨다.
曉行承議郞祖考忌祀
○郡吏馳告 新倅正叟今日上官 不奉板輿而獨來云
○윤천우(尹千遇)인물의 말을 들으니, 류(柳) 대감인물이 우이도(牛耳島)공간에 있을 때 섬사람들이 곡식이 떨어져 곤란할 때마다 곡물을 나눠주기를 진휼(賑恤)의 규정과 같이 했고, 모자물품나 부채물품를 모든 사람에게 골고루 나누어 주었으며, 사면된 후에는 소금물품과 장물품, 그릇 및 남은 곡물을 섬사람들에게 모두 나누어 주고, 쌀물품 1섬을 내어 술물품을 빚어 먹였다고 한다. 또 필묵(筆墨)물품은 서로 알고 지내던 육지 사람들에게 나누어 보냈다고 한다. 배가 떠나는 날에 온 섬의 노소(老少) 모두 눈물을 흘리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고 하니, 귀양살이를 잘했다고 할 만하다. 참으로 칭찬할 만하다. 정(鄭) 대감인물도 진도(珍島)공간에서 귀양살이 하며 이익을 도모하는 일을 전혀 하지 않아 지금까지 사람들이 칭찬한다.
○聞尹千遇之言 柳台在牛耳時 每當島民食乏窮急之際 賙以谷物 如賑恤之規 且以帽子扇柄 每人均給 及至蒙赦之後 散盡塩醬器皿及用餘谷物於島民 且以一斛之米 釀酒而饋之 又將筆墨分送於在陸相知之人 發船之日島中老少莫不揮涕 可謂善居謫矣 良可嘆賞 鄭台謫居珍島切不爲牟利之事 人到于今稱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