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8031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8-04-26 | |양력=1698-04-26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803.pdf#page=7}}}}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상례]][[분류:증물]][[분류:내방]][[분류:인물]][[분류:문예]][[분류:관찰]][[분류:추노]][[분류:송신]] |
2020년 2월 3일 (월) 23:03 기준 최신판
1698년 3월 16일 | ||
← 이전 | 다음 → | |
1698년 3월 15일 | 戊寅년 丙辰월 辛卯일, 양력 1698-04-26 | 1698년 3월 17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8년 3월 16일 신묘
十六日 辛卯
바람 불고 맑음
風陽
성복(成服)개념했다.
成服
○갑자기 어떤 사람이 울타리 밖에 이르러서는 글을 올리며 양식을 구걸하였다. 그 글에 이르기를, 본래 절강 사람 왕한영(王漢英)인물으로서, 무신년(1668) 배를 타고 장사를 하다가 표류하여 여기에 이르렀다고 적혀 있었다. 말소리가 다르고, 놋쇠[豆錫]로 된 담뱃대물품를 손에 쥐었는데 길이도 길고 그 모양 또한 특이하였다. 한 여인인물을 데리고 있었는데 이 사람은 의복과 말소리가 우리나라의 평민 여자였다. 필시 그녀를 처로 삼게 된 것이리라. 그러나 정말 한인(漢人)인지는 알 수 없다. 요즘 인심이 맑지 않아, 만나고 싶지 않아서 쌀물품 한 되만을 주어 보내었다.
○忽有人來到籬外 呈書乞粮 其書曰 本以浙江人王漢英 戊申年乘舟販商 漂到于此 云云 語音不同 手持豆錫煙竹甚長 其制且異 率一女人 此則衣服語音是我國常女 必是得以爲妻者也 然果是漢人 猶不可知 此時人心不淑 不欲接見 只給一升米送之
○南宮량來見 此乃南宮高靈億姪子 以推奴事下來堂山來見
○裁柳判前書 付黑山船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