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8012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8-03-08 | |양력=1698-03-08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801.pdf#page=8}}}} |
{{LayoutDiary | {{LayoutDiary | ||
48번째 줄: | 48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유숙]][[분류:예술]][[분류:동행]][[분류:행로]][[분류:방문]][[분류:변괴]][[분류:소식]] |
2020년 2월 3일 (월) 23:03 기준 최신판
1698년 1월 26일 | ||
← 이전 | 다음 → | |
1698년 1월 25일 | 戊寅년 甲寅월 壬寅일, 양력 1698-03-08 | 1698년 1월 27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8년 1월 26일 임인
二十六日 壬寅
밤에 비가 잠시 뿌림. 낮에 흐리다 저녁에 맑음.
夜雨暫洒 晝陰夕陽
안(安) 생(甥)인물과 채(蔡) 생(生)인물이 대둔사공간를 보고 싶어 하기에, 아침 식사 후에 출발했다. 흥아(興兒)인물, 김정진(金廷振)인물, 지원(智遠)인물이 수행했다. 저물녘에 절공간에 도착했다.
安甥蔡生願觀大屯寺 朝後發行 興兒金廷振智遠隨之 日高到寺
寒泉門長率瑞興兄弟追到
청운당(靑雲堂)공간에서 모두 함께 잤다.
並宿于靑雲堂
○절의 중이 하는 말을 들으니, 대둔사공간의 북미륵암 석불물품[1]이 12월에 땀을 흘렸으며, 올해 1월 1일에도 그랬다고 한다. 앞으로 무슨 사달이 일어날지 모르겠지만, 근래 유언비어가 너무 흉흉하니, 매우 걱정이다.
○聞寺僧之言 北彌勒石佛臘月出汗 今年元日亦然云 未知將有何應 而近來訛言太洶洶 可慮可慮
【全州松廣寺金佛 戊辰臘月卄二出汗 癸酉正月十三出汗 丁丑至月初七出汗云】
주석[ ]
- ↑ 국보 제308호인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마애여래좌상’을 가리킴. 11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