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8011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8-02-25 | |양력=1698-02-25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801.pdf#page=6}}}} |
{{LayoutDiary | {{LayoutDiary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관찰]][[분류:천체]][[분류:가족]][[분류:선물]][[분류:농사]][[분류:거왕]] |
2020년 2월 3일 (월) 23:03 기준 최신판
1698년 1월 15일 | ||
← 이전 | 다음 → | |
1698년 1월 14일 | 戊寅년 甲寅월 辛卯일, 양력 1698-02-25 | 1698년 1월 16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8년 1월 15일 신묘
十五日 辛卯
바람 불고 맑음
風陽
윤총(尹叢)인물이 와서, 흑산도공간 류(柳) 대감인물이 보낸 청장력(靑粧曆)물품 하나, 중력(中曆)물품과 상력(常曆)물품 각 하나,[1] 전약(煎藥)물품[2] 약간을 전해주었는데, 편지는 없었다. 지난번에 끝내 시(詩) 없이 공연히 편지만 보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3] 안타깝다.
尹叢來傳黑山所送靑粧曆一中常曆各一煎藥少許而無書 想有竟達空函之故 可歎
安甥興兒往蓮洞 蓋蔡生留蓮有日欲見之故也
박세붕(朴世鵬)인물이 왔다.
朴世鵬來
【오늘 달이 남쪽으로 치우쳐 떠서 농부들이 걱정했다. 그러나 혹시 바닷가에 풍년이 들 조짐일 수도 있으니 희망을 두지 않을 수 없다.】
【今日之月偏南而上 農人憂之 而或是稔海濱之兆 不能無望】
주석[ ]
- ↑ 청장력은 청색 표지로 겉장을 꾸민 고급 달력이고, 중력은 겉장을 따로 꾸미지 않은 중간 품질의 달력이며, 상력(常曆)은 가장 낮은 등급의 보통 달력이다. 달력은 그 품질에 따라 크게 겉장을 꾸며 장정한 상품(上品)인 장력(粧曆)과 하품인 중력ㆍ상력으로 나뉘었으며, 장력은 다시 가장 고급인 황장력(黃粧曆), 그 아래인 청장력, 다시 그 아래인 백력(白曆)으로 구분되었다.
- ↑ 전약(煎藥): 소가죽, 소머리, 소족 등 콜라겐 성분이 많은 부위을 진하게 고아 만든 아교질에 대추고(膏)와 꿀, 한약재인 마른 생강(乾薑), 관계(官桂: 두꺼운 계수나무 껍질), 정향(丁香), 후추 등을 넣어 오래 고아 차게 굳혀서 먹는 동지 절식. 겨울 보양식에 해당한다.
- ↑ 1697년 12월 17일 일기 참조. 흑산도의 류명현이 시와 편지를 보내며 시에 화운해달라고 간절히 청했으나, 윤이후가 답장 편지만 써서 보낸 일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