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70220"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7-03-12 | |양력=1697-03-12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702.pdf#page=8}}}}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 }} | ||
− | [[분류:행로]][[분류: | + | [[분류:행로]][[분류:관찰]][[분류:유숙]] |
2020년 2월 3일 (월) 23:02 기준 최신판
1697년 2월 20일 | ||
← 이전 | 다음 → | |
1697년 2월 19일 | 丁丑년 癸卯월 辛丑일, 양력 1697-03-12 | 1697년 2월 21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7년 2월 20일 신축
二十日 辛丑
맑음
陽
平明發行 由泗川邑前 行五十里 到固城鄕校秣馬 自此距官門五里
사천공간부터는 산세가 약간 트이고 들판도 꽤 넓었다. 그리고 섬진강공간 동쪽은 논이 많고 밭은 매우 드문데 토질이 그렇기 때문이다. 고성(固城)공간이란 읍은 성이 바닷가를 굽어보고 있고 산이 주위를 둘러싸고 바다로 막혀 있어 경치가 꽤 좋다. 땅이 좁지 않고 고기잡이도 풍성하니 풍토병만 없다면 이름난 고을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사천공간이든 고성공간이든 으레 때를 만나지 못한 사람이 수령이 되어 몸을 상하여 죽은 사람이 많다. 이 점이 안타깝다.
自泗川山勢稍開 原野頗廣 而蟾江以東畓多 而田則絶稀 土俗然也 固城爲邑 壓臨海岸 山回海停 景致頗好 幅圓不狹 魚産且饒 若無水土之疾 則雖謂之名邑 可也 而彼此間例以失時之人爲宰 多有中傷而死者 是可嘆也
穿過邑里 行二十里 踰大峙 其勢極峻 而開路盤旋 路勢頗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