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61218"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7-01-10 | |양력=1697-01-10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612.pdf#page=6}}}}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증물]][[분류:내방]][[분류:수신]][[분류:인물]][[분류:과거]][[분류:가족]][[분류:선물]][[분류:거왕]][[분류:의약]] |
2020년 2월 3일 (월) 23:02 기준 최신판
1696년 12월 18일 | ||
← 이전 | 다음 → | |
1696년 12월 17일 | 丙子년 辛丑월 庚子일, 양력 1697-01-10 | 1696년 12월 19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6년 12월 18일 경자
十八日 庚子
어제 저녁 무렵 비가 점점 심해지더니 밤에는 눈이 되어 꽤 두껍게 쌓임. 오늘은 저녁까지 맑고 화창함.
昨日向夕 雨下稍加 入夜成雪 積地頗厚 今日則終夕陽和
장흥공간의 새로 급제한 진사(進士)개념 문덕귀(文德龜)인물가 어제 연동(蓮洞)공간으로 나아가 어초은(漁樵隱) 공의 묘소공간에 전배(展拜)했다. 이 사람은 어초은인물의 외7대손이다. 오늘 나를 찾아와 만났다. 그 숙(叔) 문필한(文必漢)인물과 일가 사람인 출신(出身)개념 문필계(文必啓)인물, 유학(幼學)개념 문후상(文後祥)인물이 따라 왔다. 나는 우환(憂患) 중이라서 신래(新來)개념에게 하는 장난을 할 수 없어 술상과 점심을 대접하여 보냈다.
長興新進士文德龜 昨進蓮洞 展掃漁樵隱墓 卽外七代孫也 今日來見我 其叔文必漢及其一家人出身文必啓幼學文後祥隨來 余在憂患中 使不得呈戱 只供酒盤點心而送之
○鄭益泰送柚子醢蟹 卽與文行
○이날 밤 윤이백(尹爾栢)인물이 인천공간에서 가족을 데리고 마침 내려왔다. 그의 여동생인 정석삼(鄭錫三)의 처인물도 정산(定山)공간에 살았는데 함께 데려왔다. 그리고 인천(仁川)공간 안(安) 생(甥)인물의 편지와 서울공간 두아(斗兒)인물의 편지를 전해주었다. 두아인물의 편지는 삼봉(三奉)노비이 가져온 편지보다 먼저 보낸 것이었다.
○是夕 爾栢自仁川率居適下來 其妹鄭錫三妻在定山亦爲率來 仍傳仁川安甥書及京中斗兒書 斗書卽三奉前先發者也
○自昨服四物解毒湯 卽李察訪漵所命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