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60520"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6-06-19 | |양력=1696-06-19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605.pdf#page=8}}}} |
{{LayoutDiary | {{LayoutDiary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 | + | [[분류:상례]][[분류:내방]][[분류:문예]][[분류:관찰]][[분류:온화]][[분류:방문]][[분류:행로]][[분류:귀가]] |
2022년 7월 12일 (화) 20:49 기준 최신판
1696년 5월 20일 | ||
← 이전 | 다음 → | |
1696년 5월 19일 | 丙子년 甲午월 乙亥일, 양력 1696-06-19 | 1696년 5월 21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6년 5월 20일 을해
二十日 乙亥
맑음
陽
류기서(柳起瑞)인물가 왔다.
柳起瑞來
○■■ 前橋拜廟 仍拜寧越宅叔母砥平姑主 適■■■
잠시 얼굴을 뵙고, 길을 돌려 사청(射廳)개념[1]으로 갔다. 서조모(庶祖母)인물께 절하고, <Term id="M666" name="학관">학관(學官)인물 숙(叔)</Person>과 조곤조곤 이야기를 나누었다. 학관 숙이 헌집을 사서 고쳤는데, 매우 깨끗하고 좋았다. 또한 작은 연못을 파 여러 화초를 섞어 심으니, 훌쩍 벗어난 산림의 정취가 있어 속이 탁 트이는 기분이 들면서 “난간이 나를 머물게 하여 돌아갈 생각 들지 않네[欄干留我不思歸]”[2]란 시구를 떠올리게 했다.
竝蹔承顔 轉往射廳 拜庶祖母 與學官叔穩話 學官購得舊舍重修 極精好 且開小池 雜植花卉 翛然有山林之趣 令人疎暢 有欄干留我不思歸之意
저녁 무렵 맹교(盲橋)공간로 돌아왔다.
乘昏歸盲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