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41103"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4-12-19 | |양력=1694-12-19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411.pdf#page=1}}}}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증물]][[분류:내방]][[분류:인물]][[분류:소식]][[분류:잉유]][[분류:거왕]][[분류:의약]] |
2020년 2월 3일 (월) 23:00 기준 최신판
1694년 11월 3일 | ||
← 이전 | 다음 → | |
1694년 11월 2일 | 甲戌년 丙子월 丁卯일, 양력 1694-12-19 | 1694년 11월 4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4년 11월 3일 정묘
三日 丁卯
밤에 눈. 낮에도 조금 눈
夜雪 午亦小雪
정(鄭) 생(生)인물이 숙위했다.
鄭生宿
○격포(格浦) 첨사(僉使)개념 이만방(李晚芳)인물이 환관개념 육후립(陸後立)인물의 비(婢)를 <Term name="속가">속가(贖價)</Term>를 내고 첩으로 삼았고, 대신들에게 잔치를 베풀어 먹였으며, 청어(靑魚)물품를 서울공간로 실어 보내어 돈으로 바꾸어 유용하였다. 또 영암공간의 옛 집에 청어물품를 보내어 벼와 바꾸었다. 전후로 유용한 돈이 거의 수 만 냥이나 된다. 대신들의 계문에 의하여 잡혀 갔다고 한다. 매우 놀랍고 근심스럽다. 내가 일찍이 편지를 보내 색거(色擧)개념의 뜻을 일러주었는데도 조심하지 않더니 마침내 이런 지경을 당한 것이다. 매우 개탄스럽지만 어쩌겠는가.
○格浦僉使李晚芳以贖宦者陸後立婢作妾 及宴饋卿宰 載送靑魚於洛下 貿錢而用之 又送於南中舊家 以爲貿租 前後所用 幾至數萬兩錢 被啓拿去云 極可驚慮 吾嘗貽書 喩以色擧之意 而不能聽瑩 竟遭此境 殊歎奈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