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30606

jiamdiary
이동: 둘러보기, 검색


169366
← 이전 다음 →
1693년 6월 5일 癸酉년 己未월 戊寅일, 양력 1693-07-08 1693년 6월 7일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3년 6월 6일 무인
六日 戊寅
맑음
영건소(營建所)공간에 나가 묘당(廟堂)에 상량하는 것을 보았다. 도유사 박필중(朴必中)인물, 별유사 이지(李墀)인물, 박수귀(朴壽龜)인물, 임중헌(任重獻)인물, 이장원(李長原)인물, 임석주(林碩柱)인물, 이익회(李益薈)인물, 이운재(李雲栽)인물, 박세림(朴世琳)인물, 좌수개념 이신재(李信栽)인물, 별감개념 박필태(朴必泰)인물, 전 별감개념 임중신(任重信)인물이 와서 모였다. 영건소에서 면포물품 1필을 내고, 향청은 보리(牟)물품 1석(石), 향교는 보리 2석, 나는 면포물품 1필을 내어 대들보 올리는 것을 도왔다. 들보물품 안에[樑腹] 쓰기를, “현감 최형기(崔衡基)인물【전 현감 때 역사를 시작했는데 전 현감 류상재(柳尙載)인물는 전혀 호응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름을 쓸 수 없었다. 새로운 현감은 아직 도임하지 않았으나 오면 마땅히 힘을 다할 것이므로 이에 써 넣은 것이다】, 좌수개념 이신재(李信栽)인물, 도유사 박필중(朴必中)인물, 윤세미(尹世美)인물【윤세미는 박필중과 뜻이 맞지 않아 와서 역사(役事)를 살피지 않았지만 당초에 뽑은 인원이므로 쓴 것이다】, 별유사 이지(李墀)인물, 이봉순(李逢舜)인물, 성조유사 박수귀(朴壽龜)인물, 이전(李瀍)인물, 전곡유사 임중헌(任重獻)인물, 민진세(閔鎭世)인물, 번와유사(燔瓦有司) 이장원(李長原)인물, 임석주(林碩柱)인물, 임익성(任翊成)인물, 벌목유사 이익회(李益薈)인물, 박세림(朴世琳)인물, 김화진(金華震)인물, 이운재(李雲栽)인물, 박필함(朴必諴)인물, 색리개념 이계추(李桂秋)인물, 목수 승(僧) 신안(信安)인물 등(等), 고직 서검동(徐儉同)인물, 사령개념 강갑신(姜甲申)인물” 이라 하였는데, 이복(爾服)인물으로 하여금 쓰게 했다.
進往營建所 見廟堂上樑 都有司朴必中 別有司李墀朴壽龜任重獻李長原林碩柱李益薈李雲栽朴世琳 座首李信栽 別監朴必泰 前別監任重信來會 自營建所出綿布一疋 鄕廳出牟一石 鄕校出牟二石 余出綿布一疋 以助擧樑 樑腹書曰 縣監崔衡基【前官時始役 而前倅柳尙載全不酬應 不可書名 新官雖未到任 來則必當盡力 故以此書塡】座首李信栽 都有司朴必中尹世美【尹與朴意不合一 不來見役 而旣是當初所出之員 故書之】別有司李墀李逢舜 成造有司朴壽龜李瀍 錢谷有司任重獻閔鎭世 燔瓦有司李長原林碩柱任翊成 伐木有司李益薈朴世琳金華震李雲栽朴必諴 色吏李桂秋 木手僧信安等 庫直徐儉同 使令姜甲申 使爾服書之
일포(日哺, 申時)에 돌아왔다.
日旣哺還來
○이날 아침 종복(從卜)인물두립(斗立)인물에게 각각 장(杖) 20대를 때렸다. 지난번 양가송(梁可松)인물종복(從卜)인물의 밭을 환퇴하고 나로 하여금 사게 했을 때 양가송을 거론하며 소장(訴狀)을 올렸는데 실제는 나를 겨냥한 뜻이 있었다. 진립(震立)인물에게 장 10대를 때린 것은 종복을 지휘한 죄 때문이었다.
是朝杖從卜斗立各二十 蓋以向者梁可松還退從卜之田使我買取之時 擧梁呈狀 而意實在我 杖震立十度 以指揮從卜之罪也
지행(止幸)인물이 와서 가마물품를 빌려갔는데, 그의 누이인 오이복(吳以復)의 아내인물가 우귀(于歸)할 때 쓰려고 한다고 한다. 이들 무리는 법도로는 옥교(屋轎)를 타서는 안되지만 폐습(弊習)도 갑자기 고칠 수는 없으므로 하는 수없이 허락했다. 그르다는 것을 알고도 좇아 이 무리들이 신분에 어긋나는 짓을 하도록 조장하였으니 교계(敎戒)하는 도(道)와 친애하는 뜻에 있어서 매우 옳지 않다. 아이고! 나 또한 불인(不仁)한 사람인데, 이 무리들은 도리어 기뻐하니 참으로 민망하구나.
○止幸來借轎以去 欲用於其妹吳以復妻于歸之行云 此輩法不當乘屋轎 而弊習猝難矯 不得不許之 知其非而循之 以長此輩犯分之習 甚非敎戒之道親愛之意 吁吾亦不仁者矣 而此輩反以爲喜 良可哀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