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20327

jiamdiary
이동: 둘러보기, 검색


1692327
← 이전 다음 →
1692년 3월 26일 壬申년 甲辰월 丙子일, 양력 1692-05-12 1692년 3월 28일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2년 3월 27일 병자
二十七日 丙子
맑음
화산(花山)공간 사람 수십 명이 왔다.
花山人數十名來
함평공간 하인과 군기감관(軍器監官)개념 이민정(李敏挺)인물이 왔다.
○咸平下人及軍器監官李敏挺來
들으니 암행어사개념의 서계(書啓) 때문에 마침내 파직에 이르렀다고 한다. 체직(遞職)되고자 했으나 그렇게 되지 못하고 있던 차에 마침 원하는 바를 이루게 되었으니 다행이다. <Term id="M391" name="암행어사">암행어사인물</Person>가 추고(推考)한 후 <Term id="M481" name="이조판서">이조판서인물</Person>가 계달(啓達)한 바에 따라 취리(就吏)한다고 한다. 이렇게 한다 해서 또한 그에게 무슨 보탬이란 말인가.
聞以暗行書啓 竟至罷職 欲遞未得之際 適足遂願 可幸 暗行旣推考之後 因吏判所達就吏云 於渠亦何益哉
제언(堤堰)물품의 토목공사는 이미 마쳤다. 전후에 동원된 역군(役軍)이 장차 8백에 이르는데도 겨우 둑 쌓는 것을 마쳤을 뿐이다. 안팎의 토역(土役)은 장차 다음달 10일쯤은 되어야 하고, 또 석축 쌓는 일은 그 공력이 모름지기 몇 배는 들 텐데 어찌 대응할는지 매우 염려스럽다.
○堰堤土役旣畢 前後役軍 將至八百 而菫完堤 內外土役 將以來月旬間 又爲石築 其工力必倍簁 何以酬應 可慮可慮
○오후에 출발하여 백치(白峙)공간이대휴(李大休)인물에게 들러 방문하고 저녁때 팔마(八馬)의 장사(庄舍)공간로 돌아왔다.
○午後發行 歷訪白峙李大休 夕還八庄
○오랫동안 역소(役所)에 있었더니 쓸쓸하고 적막함을 견디지 못하겠기에 『파한집(破閑集)문헌』을 열어보았는데 그 안에 있는 시가 다음과 같았다.

몇 점 푸른 산이 호수를 베고 누워있네
공은 이것을 진양도(晋陽圖)라 하였지요
물가에 초가집 몇 채
그 안에 우리 집이 있건만 그림 속에는 없네[1]

내가 차운해서 죽도(竹島)공간의 승경을 읊었다.

중주(中州)의 명승이로다 동정호여
산수가 흘러흘러 한 폭의 그림이 된 것 같도다
만약 이 땅에 견주어본다면 모르겠구나
누가 능히 앞자리를 양보할지



또 문집에는 없지만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인물의 시가 다음과 같다.

멀리 안개 낀 첩첩산 아래 강물은 넘실 흘러가고
거울속의 집들은 푸른 봉우리를 마주보네
어디서 온 외로운 배는 바람을 싣고 가는데
언뜻 본 나는 새는 아득히 자취가 없구나[2]



내가 또 차운하였다.

하늘이 큰 못을 만들었으니 물이 넘실 흘러가고
사방을 둘러싼 산[螺鬟][3]에는 푸른 봉우리가 솟았네
가운데에는 떠내려온 듯한 오배골(鰲背骨)[4]
봉우리에 올라 굽어보니 마치 신선의 자취를 쫓는 듯 하네

○久在役所 不堪愁寂 披閱破閑集 有詩曰

數點靑山枕碧湖
公言此是晋陽圖
水邊草屋知多少
中有吾廬畵也無



余步其韻 而咏竹島之勝曰

中州名勝洞庭湖
山水流傳似畵圖
若使比方於此地
未知誰能讓一頭」



無集中 又有崔孤雲詩曰

烟巒簇簇水溶溶
鏡裏人家對碧峯
何處孤帆飽風去
瞥然飛鳥杳無踪



余又次曰

天開大澤水溶溶
四面螺鬟聳碧峯
中有浮來鰲背骨
登臨況若躡仙蹤
























주석[ ]

  1. 『파한집』에 실린 鄭與齡의 「晉州山水圖」
  2. 고운 최치원의 시 「臨鏡臺」
  3. 부처의 머리카락이 소라처럼 되었으므로 佛頭를 나환이라 하고, 또 산 모양을 이르기도 한다.
  4. 지명인 鰲背 골짜기를 의미하기도 하고, 바다를 둘러싼 산악 지형을 자라 등 모양이라 비유하기도 함. 자라등 같은 모양을 형상한 것으로 죽도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