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50219"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 | + | [[분류:수신]][[분류:인물]][[분류:관찰]][[분류:역과]][[분류:생사]][[분류:가족]][[분류:술수]][[분류:소식]][[분류:거왕]][[분류:질병]] |
2020년 2월 3일 (월) 23:01 기준 최신판
1695년 2월 19일 | ||
← 이전 | 다음 → | |
1695년 2월 18일 | 乙亥년 己卯월 辛亥일, 양력 1695-04-02 | 1695년 2월 20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5년 2월 19일 신해
十九日 辛亥
어두운 구름이 걷히지 않고 비가 올 듯한 조짐이 매우 강함
陰雲不開 雨意甚重
○금년 우리 내외의 신수를 점쟁이 천재영인물으로 하여금 점치게 했더니 고(蠱)가 나왔다. 말하기를, 나는 평탄하나 아내인물는 4월과 8, 9월에 액이 있어 낙상할 것 같고, 혹 자손 중 뱀띠, 말띠가 종기를 앓을 수 있다고 한다. 천재영인물은 늦은 아침에 갔다.
○今年吾外內身數使千卜占之則蠱也 以爲 吾則平平 而室人四月及八九月有厄 似有落傷 或子孫巳午生命腫患云矣 千卜晩去
江城崔別將過
○서울공간에서 <Term id="M582" name="참군">참군(參軍)인물 외숙</Person>이 습창(濕瘡)개념으로 내려오지 못하고 노마(奴馬)를 돌려보내 창아(昌兒)인물가 초8일에 쓴 편지를 받았다.
○京中參軍渭陽以濕瘡不得下來 還送奴馬 見昌兒初八書
심(沈) 대감인물의 어머니인 고모님인물[1]께서 병환으로 3일에 끝내 돌아가셨다. 매우 가슴 아프다. 몇 년 사이 우리 집안에 초상이 줄을 잇고 있으니 마음이 아프다. 아이들은 이 때문에 출발하지 못했고, 11일날 출발할 것이라 한다.
沈台大夫人姑主病患初三竟至不淑 痛矣痛矣 數年來一家喪慽連綿 痛矣痛矣 兒輩以此不得發行 將以十一日登程云矣
치사(致仕)한 봉조하(奉朝賀)개념 이관징(李觀徵)인물이 8일 갑작스레 사망했다고 한다. 이 대감인물은 평생 재주로 칭송받지는 않았으나, 바른 도리를 지켜 잘못을 저지르지 않았고 늙어서는 능히 자기 자리를 알았다. 올해 나이가 78세이니, 흔하지 않은 복이며 보기 드문 사람이라 할 만하다.
致仕奉朝賀李觀徵初八卒逝 此台平生雖不以才局見稱 而守正無疵累 暮境能知止 年今七十八 可謂罕有之福稀覯之人也
【뒤에 들으니, 봉조하인물의 죽음은 잘못 전해진 것이었다. 이후 얼마 되지 않아 진짜로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다】
【追聞 奉朝賀之喪 乃是誤傳也 此後未久聞下世眞報】
주석[ ]
- ↑ 심광면(沈光沔)에게 시집 간 윤선도의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