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70518"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7-07-06 | |양력=1697-07-06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705.pdf#page=3}}}}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서사]][[분류:인물]][[분류:선물]][[분류:귀가]][[분류:동행]][[분류:소식]][[분류:내방]][[분류:가족]][[분류:방문]] |
2020년 2월 3일 (월) 10:39 판
1697년 5월 18일 | ||
← 이전 | 다음 → | |
1697년 5월 17일 | 丁丑년 丙午월 丁酉일, 양력 1697-07-06 | 1697년 5월 19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7년 5월 18일 정유
十八日 丁酉
오후에 비가 옴
午後雨來
○지난번 받은 정(鄭) 대감인물의 편지에 오늘 귀양지를 떠나 남리역(南利驛) 역마을공간에서 잔다고 했기에, 일찍 밥을 먹고 말을 타고 가다가 마포(馬浦)공간의 호곡(虎谷)공간 앞 길에서 서로 만났다. 어제 출발하여 남리공간에 와서 잤다고 한다. 그 길로 함께 가다가 별진(別珍)공간에 잠시 들러 말물품을 먹이고 서로 헤어졌다. 이 분의 어머니는 연세가 86세로 몸져 누워 있는데 지금 석방되어 돌아가 생전에 서로 만날 수 있으니, 아주 다행스럽다.
○頃見鄭台書 今日發謫所 當宿南利驛村云 故余早食馳進 到馬浦虎谷前路相遇 昨日發行來宿南利云 仍與偕行 暫投別珍秣馬 相別 此台慈闈年今八十六 委頓枕席 而今蒙放還 可得生前相見 爲之深幸也
송별한 후 흥아(興兒)인물와 함께 김동옥(金東玉)인물을 데리고 걸어서 그의 집으로 갔다. 그 집은 역마을 뒤에 있었다. 산간에서 끌어온 작은 개울이 계단 앞을 돌아가고 화훼를 줄지어 심어 놓아 속세를 벗어나 한가로운 모습이 볼 만했다.
送別後 與興兒携金東玉 步往其家 家在驛村後 引山間細流而遶階前 樹以花卉成行 瀟灑可觀
俄而高察訪汝弼來到 待雨歇歸 高察訪寓舍設小饌醴酒
○高察訪出靜庵集一帙兩卷以贈 余欣然持來 卽寫題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