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50923"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5-10-30 | |양력=1695-10-30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509.pdf#page=11}}}}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 | + | [[분류:온화]][[분류:유숙]][[분류:인물]][[분류:선물]][[분류:조우]][[분류:내방]][[분류:행로]][[분류:방문]] |
2020년 2월 3일 (월) 10:38 판
1695년 9월 23일 | ||
← 이전 | 다음 → | |
1695년 9월 22일 | 乙亥년 丙戌월 壬午일, 양력 1695-10-30 | 1695년 9월 24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5년 9월 23일 임오
二十三日 壬午
맑음
陽
○아침을 먹은 후 출발하여 가단리(可丹里)공간를 찾아가 박준신(朴俊藎)인물을 만났다. 그가 머무는 집 주인인 박동선(朴東善)인물이 낙지물품를 데치고 홍시물품를 내어 술물품을 권했다. 김시발(金時發)인물도 함께 있었는데, 그는 본래 팔마(八馬)공간 사람으로 이곳의 학장(學長)개념이 되었다. 나는 박준신인물과 오랫동안 이야기를 나누었다.
○朝食後發行 尋到可丹里見朴俊藎 其主人朴東善烹落蹄出紅枾勸之酒 金時發亦在座 金本以八馬人 爲學長於此 余與朴老敍話良久
밤이 되어 일어나서 정(鄭) 대감인물의 거처로 가서 함께 잤다.
乘夕而起 到鄭台寓所同宿
이날 밤 진도군수 이진(李竹/晉)인물[1]이 왔다. 내가 여기에 온 줄 모르고, 다만 정(鄭) 대감인물에게 문안하려고 온 것이다. 나를 정성스레 대했고, 돌아가서 곧바로 술물품 1단지와 숭어물품 1마리, 생전복물품 3개를 보냈다.
是夕主倅李(竹+晉)出來 盖不知余之到此 只爲候鄭台而來 仍致款于余 還去後卽以一壺酒一秀魚生鰒三介餽之
주석
- ↑ 이진(李竹/晉): 《승정원일기》에는 ‘李縉’으로 되어 있음. 숙종 20년(1694) 1월 4일 “李縉爲珍島郡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