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30727"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3-08-28 | |양력=1693-08-28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307.pdf#page=8}}}}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사노]][[분류:거왕]][[분류:무역]][[분류:소식]][[분류:내방]][[분류:가족]][[분류:과거]] |
2020년 2월 3일 (월) 10:36 판
1693년 7월 27일 | ||
← 이전 | 다음 → | |
1693년 7월 26일 | 癸酉년 庚申월 己巳일, 양력 1693-08-28 | 1693년 7월 28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3년 7월 27일 기사
二十七日 己巳
맑음
陽
얼마 전 서울공간 편지를 통해 알성시(謁聖試)개념 날짜가 8월 10일 전으로 정해졌음을 듣고, 20일 무렵 급히 행장을 꾸려 흥아(興兒)인물를 출발시켜 보냈다. 쓸쓸하고 허전한 느낌을 말로 할 수 없어, 이번에 떠나는 노(奴)와 말로 하여금 괴산공간의 딸인물을 데리고 오게 하였다.
頃仍京書 聞謁聖當定於八月旬前 念間急治行具 發送興兒 孤寂缺然不可言 令此去奴馬率來槐山女息
○해남 화산(花山)공간의 윤철신(尹輟莘)인물, 용산(龍山)공간의 김태귀(金泰龜)인물, 후촌(後村)공간의 변최휴(卞最休)인물, 최형익(崔衡翊)인물, 최유기(崔有基)인물, 당산(堂山)공간의 윤순제(尹舜齊)인물, 황세휘(黃世輝)인물가 왔다.
○海南花山尹輟莘龍山金泰龜後村卞最休崔衡翊崔有基堂山尹舜齊黃世輝來
○耽人持三馬來 其中驃仇郞五禾馬頗俊大 十八丁綿布買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