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30104"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3-02-08 | |양력=1693-02-08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301.pdf#page=4}}}} |
{{LayoutDiary | {{LayoutDiary | ||
2020년 2월 3일 (월) 22:59 기준 최신판
1693년 1월 4일 | ||
← 이전 | 다음 → | |
1693년 1월 3일 | 癸酉년 甲寅월 戊申일, 양력 1693-02-08 | 1693년 1월 5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3년 1월 4일 무신
四日 戊申
맑음
陽
윤시상(尹時相)인물, 최상일(崔尙馹)인물, 윤창도(尹昌道)인물, 김수빈(金壽彬)인물, 임익성(任翊聖)인물, 임석주(林錫柱)인물, 김귀현(金龜玄)인물, 황원(黃原)공간의 윤중호(尹重虎)인물, 방축내(防築內)공간의 조규서(趙珪瑞)인물, 최유각(崔有珏)인물, 족숙(族叔) 윤세미(尹世美)인물, 선달(先達) 윤취삼(尹就三)인물이 왔다.
尹時相崔尙馹尹昌道金壽彬任翊聖林錫柱金龜玄黃原尹重虎防築內趙珪瑞崔有珏尹族叔世美尹先達就三來
주석[ ]
- ↑ 백족(白足): 원래 구마라집(鳩摩羅什)의 제자인 백족화상(白足和尙) 담시(曇始)를 지칭하는 말이었는데, 후대에 승려를 지칭하는 말로 쓰였다. 담시는 발이 얼굴보다 희었고, 맨발로 진흙탕을 건너도 더러워지지 않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