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20608"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2-07-21 | |양력=1692-07-21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206.pdf#page=3}}}}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 | }}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가족]][[분류:수신]][[분류:질병]] |
2020년 2월 3일 (월) 22:58 기준 최신판
1692년 6월 8일 | ||
← 이전 | 다음 → | |
1692년 6월 7일 | 壬申년 丁未월 丙戌일, 양력 1692-07-21 | 1692년 6월 9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2년 6월 8일 병술
八日 丙戌
맑음
陽
○尙州居奴尙儉來 傳衙中書 聞女息母女安穩 慰喜難狀
○이성(爾成)인물이 왔다.
○爾成來
○두통이 옮겨서 오른쪽 눈썹 모서리의 통증이 되었는데 아픈 정도가 꽤 심하다가, 오늘 저녁 비로소 그쳤다. 근래에는 반드시 먼저 이마에 통증이 나서 하루 아픈 후, 그대로 눈썹 모서리의 통증이 되어 반드시 사흘을 채우고 그친다. 그래도 통증의 정도는 전보다 약간 가볍다.
○頭疼轉作右眉稜痛 痛勢頗緊 今夕始止 近來則 必先於額間痛發 一日作苦後 仍成眉稜之痛 必滿三日而止 而但痛勢比前稍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