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81223"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9-01-23 | |양력=1699-01-23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812.pdf#page=8}}}}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
− | [[분류: | + | [[분류:유숙]][[분류:인물]][[분류:동행]][[분류:초치]][[분류:행로]][[분류:방문]][[분류:술수]][[분류:잉유]][[분류:조우]] |
2020년 2월 3일 (월) 23:04 기준 최신판
1698년 12월 23일 | ||
← 이전 | 다음 → | |
1698년 12월 22일 | 戊寅년 乙丑월 癸亥일, 양력 1699-01-23 | 1698년 12월 24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8년 12월 23일 계해
二十三日 癸亥
아침에 잠깐 맑았다가 늦은 아침에 눈 내림
朝來乍陽 晩後雪下
손(孫) 생(生)인물, 이성(爾成)인물과 함께 백포(白浦)공간에서 길을 나서, 고장(高墻) 산소공간에 들러 전배(展拜)했다. 손 생인물이 말했다. “이곳은 분명히 참된 결국(結局)이지만 백호(白虎) 머리가 너무 가깝게 다가서 있으니 이는 식루사(拭淚砂)개념인 것 같습니다. 용호(龍虎) 머리에 험악한 암석이 비쭉비쭉하고, 앞산 골짜기의 물은 포태수(胞胎水)개념인 것 같은데, 이것이 큰 흠입니다.”
與孫生爾成 發白浦 歷展高墻山所 孫生曰 的是眞結 而白虎頭太迫近 似是拭淚砂 龍虎頭 惡石磷磷 前山山谷間水 似是胞胎水 此乃大欠云
잠시 후 다시 출발했는데, 이성(爾成)인물은 백포공간로 돌아가고, 나와 손 생인물은 눈을 무릅쓰고 다니다가 미황사(尾黃寺)공간 용화당(龍華堂)공간에 유숙했다. 용화당은 미황사에서 가장 경치가 빼어나서, 나는 이 절에 올 때마다 여기서 머무르곤 한다.
須臾還發 成歸白浦 余與孫生 冒雪而行 止宿尾黃寺龍華堂 堂於寺最勝 故余每到寺 輒主于此
노승(老僧) 홍언(洪彦)인물을 불러 만났다. 예전에 남양(南陽) 할머니 댁에 몇 아름이나 되는 은행나무물품가 대문 밖에 서 있었는데, 홍언인물이 시왕전(十王殿)공간의 화주(化主)개념가 되어 은행나무물품를 얻어 불상을 조성하길 원하여, 할머니가 우리 형제들을 위해 공양을 허락했었다. 이 때문에 내가 이 절에 오면 중들이 나를 각별하게 생각하고, 홍언인물도 항상 옛 일을 이야기하며 정성스레 대하기에, 나도 오자마자 불러서 만난 것이다.
招見老僧洪彦 蓋昔年南陽祖母宅有銀杏樹 立於大門外 其圍數抱 洪彦爲十王殿化主 願得銀杏樹造佛像 祖母爲吾兄弟捨身許之 以此之故 余或到寺 則僧徒視我自別 彦也常稱故事而有情款 余亦到卽招見
조금 있다가 유명기(兪命基)인물 생(生)도 와서 만났다. 마침 일이 있어 왔다고 한다.
俄又兪生命基來見 適以事來到云
정(鄭) 생(生)인물이 함께 유숙했다.
鄭生同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