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80210"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8-03-21 | |양력=1698-03-21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802.pdf#page=2}}}}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미정리]][[분류:수신]][[분류:송신]][[분류:제례]][[분류:관찰]][[분류:가족]][[분류:잉유]][[분류:요치]][[분류:질병]] |
2020년 2월 3일 (월) 23:03 기준 최신판
1698년 2월 10일 | ||
← 이전 | 다음 → | |
1698년 2월 9일 | 戊寅년 乙卯월 乙卯일, 양력 1698-03-21 | 1698년 2월 11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8년 2월 10일 을묘
十日 乙卯
맑음
陽
을원(乙願)인물의 천연두개념는 발진의 조밀함이 너무 심하다. 오늘이 부풀어 일어나는 첫날인데 발진이 어떻게 진행될지 불분명하고 묽은 죽물품도 먹지 못하니, 근심과 걱정을 이루 말할 수 없다.
乙願痘患稠密太甚 今日乃起脹初日 而脹勢不明 粥飮不進 憂慮不可言
○權台德章因其奴便 付書以問 卽答送之
○우리 집안은 중병이나 천연두개념에 걸리더라도 제사를 그만두지 않았다. 이는 예로부터 지켜온 가법이며, 할아버지인물께서도 이에 대해 확고한 논의를 내리신 바 있다. 그래서 이번에 을원이인물가 천연두개념에 걸렸어도 그 아비인물의 궤연(几筵)에 지내는 아침 저녁 제사를 그치지 않았고, 다만 곡은 하지 않았다. 그런데 천연두개념 병세가 꽤 위중해지자 을원 어멈인물이 일단 제사를 그치기를 간절히 원하여, 부득이하게 어제부터 억지로 그 청을 들어주었다. 개탄스러울 따름이다.
○吾家雖有重病或痘疫不爲廢祭 乃是自昔遵守之法 而亦有王考定論 故今者乙願之痘 其父几筵朝夕之祭 不爲停廢 但不哭泣矣 痘勢頗重 其母切願姑寢 不得不自昨勉從 可嘆也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