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7110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7-12-18 | |양력=1697-12-18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711.pdf#page=2}}}}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가족]][[분류:무역]][[분류:선물]][[분류:잉유]][[분류:의약]][[분류:질병]] |
2020년 2월 3일 (월) 23:03 기준 최신판
1697년 11월 6일 | ||
← 이전 | 다음 → | |
1697년 11월 5일 | 丁丑년 壬子월 壬午일, 양력 1697-12-18 | 1697년 11월 7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7년 11월 6일 임오
六日 壬午
밤낮으로 바람과 눈이 어제와 같음. 추위가 갈수록 심해지고, 연일 개지 않음.
夜晝風雪如昨 寒威轉酷 連日不開
윤기업(尹機業)인물이 왔다.
尹機業來
○세원(世願) 어멈인물이 어제 새집으로 옮겨 들어갔다.
○世願母昨日移入新舍
○아내인물의 괴증(塊症)개념이 항상 위독하여 매번 위로 치받아 오를 때에는 사지에 경련이 일어[1] 마비가 오고[2] 눈을 부릅뜨며 이를 악무는 등 여러 가지 참혹한 모습이 차마 볼 수 없을 지경이었다. 그런데 작년 2월 죽도(竹島)공간에 있을 때, 어떤 사람이 큰 새를 한 마리 잡아와서 “뱃속에 덩어리가 생기는 병[3]에는 이것이 제일 좋습니다. 그래서 혹시 써보실 수도 있겠다 싶어 감히 가지고 왔습니다.”라고 했다. 나도 전에 이에 대해 들은 적이 있어 벼물품 2말로 바꿔서 즉시 아내인물에게 삶아 먹도록 했더니, 그 때부터 덩어리의 기세가 꺾였고 발동의 증세가 있어도 치받아 올라 화를 끼치는 일은 없게 되었다. 그리고 올해 여름에 약간 재발하는 낌새가 있었지만 그래도 병이 심하게 일어나지는 않았다. 며칠 전 이신우(李信友)인물가 그물물품을 설치하여 한 마리를 잡아 보내왔는데, 이것을 먹으면 또 효과가 있을지 모르겠다. 이 새물품는 우리말로 ‘너시’[4]라고 하며, 《시경(詩經)문헌》에서 말하는 ‘鴇’이다. [5] 괴증을 치료하는 약으로는 뱀장어물품나 오소리물품 고기와 기름 등이 있는데, 모두 확연한 효험이 있지만 너시물품만큼 좋은 것은 없다.
○室人塊症常常作危 每當逆上之時 四肢搐搦癱瘓 瞋目噤口 種種慘狀 有不忍見 上年二月在竹島時 有人捉一大鳥而來曰 此物最良於癥瘕 故意或欲試敢來云 余亦曾聞之 故以二斗租換取 卽令室人烹而啗之 自是塊氣頓挫 雖有發動之漸 而無逆上作孼之患 至今夏間稍有更作之勢而亦不得肆 數日前李信友設罟 獲一首以送 未知食此後又有其效否也 此鳥俗名卽너시 詩所謂鴇 鴇音卽甫也 蓋治塊之藥 如鰻鱺魚土猪肉及油 皆有顯效而莫如鴇鳥之良也
주석[ ]
- ↑ 경련이 일어 : 원문의 휵닉(搐搦)은 팔다리를 버둥거리면서 주먹을 자주 펼쳤다가 오그리는 증상을 가리킨다.
- ↑ 마비가 오고 : 원문의 탄탄(癱瘓)은 중풍으로 팔다리를 쓰지 못하는 증세를 말한다. 탄(癱)은 ‘평탄하다’는 뜻으로 근맥(筋脈)이 늘어져 들지 못함을 의미하고, 탄(瘓)은 ‘흩어진다’는 뜻으로 혈기(血氣)가 흩어져 쓸 수 없는 상태를 가리킨다.
- ↑ 뱃속에 덩어리가 생기는 병 : 원문에서의 징가(癥瘕). 징(癥)은 단단한 것이 생겨 움직이지 않는 것, 가(瘕)는 단단한 것이 생겨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담음(痰飮), 식적(食積), 어혈로 생긴 덩어리로, 주로 배꼽 아래에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부인에게 흔히 나타난다.
- ↑ 너시 : 느시. 두루미목 느시과의 대형 조류. 천연기념물 제206호. ‘너새’, ‘너화’, ‘들칠면조’라고도 함. 예전엔 흔한 겨울철새였으나 근래에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 ↑ 《시경(詩經)》 〈당풍(唐風)・보우(鴇羽)〉 ‘鴇’는 음이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