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7052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7-07-14 | |양력=1697-07-14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705.pdf#page=8}}}}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 }}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문예]][[분류:가족]][[분류:귀환]][[분류:소식]][[분류:거왕]][[분류:질병]] |
2020년 2월 3일 (월) 23:03 기준 최신판
1697년 5월 26일 | ||
← 이전 | 다음 → | |
1697년 5월 25일 | 丁丑년 丙午월 乙巳일, 양력 1697-07-14 | 1697년 5월 27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7년 5월 27일 병오
二十六日 乙巳
흐림
朝來陰霏 晩後乍出微陽
송우경(宋遇璟)인물이 갔다.
宋遇璟去
○왼쪽 눈썹 모서리가 3일전부터 발작하여 종일 고통스러웠다.
○左眉稜自三昨發作 終日苦痛
○어제 흥아(興兒)인물가 권(權) 대감인물의 적소에서 돌아와 말하기를, 권 대감인물이 근래에 월남(月南)공간에 가서 목(睦) 상(相)인물을 뵈었는데 목 상인물이 술물품을 내어 한껏 마시고 시를 지어 주었다고 하였다. 내가 병으로 누워서 그 시에 차운하였다.
우리의 도 본래 굽음과 펼침이 있는데
때마침 뇌성과 비바람에 물속의 물고기 뛰어오름을 보네
오늘 아침 먼저 돌아가는 객을 부러워할 것 없네
훗날 물러나지 않는 사람 되지 않아야 하리
○日昨興兒從權台所還言 權台頃拜睦相于月南 睦相出酒劇飮 仍作詩以贈 余於伏枕呻吟之中 偶次其韻
吾道由來有屈伸
會看雷雨起潛鱗
今朝莫羨先歸客
他日毋爲未退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