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70319"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7-04-10 | |양력=1697-04-10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703.pdf#page=7}}}}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 }}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역사]][[분류:거왕]][[분류:조경]] |
2020년 2월 3일 (월) 23:02 기준 최신판
1697년 3월 19일 | ||
← 이전 | 다음 → | |
1697년 3월 18일 | 丁丑년 甲辰월 庚午일, 양력 1697-04-10 | 1697년 3월 20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7년 3월 19일 경오
十九日 庚午
아침 일찍 맑다가 늦은 아침에 흐림. 비 올 조짐이 매우 짙음
早陽晩陰 雨意甚濃
윤동미(尹東美)인물가 왔는데 그의 뱃짐 때문이다.
尹東美來 蓋爲渠船卜也
남미(南美)인물와 함께 모두 갔다.
與南美俱去
우리 면의 약정(約正)개념 이익화(李益華)인물가 왔기에, 제언 쌓는 데에 역군(役軍)을 확실히 보낼 것을 분부했다. 대개 역군은 사적으로도 얻을 수 있으나 관의 명령을 빌리고자 화산(花山)공간, 현산(縣山)공간, 녹산(彔山)공간, 은소(銀所)공간 4개 면의 역군을 제급(題給)해 달라는 뜻으로 소장을 올렸더니, “부근 면에서 잘 헤아려 일을 시켜 빨리 수축(修築)하게 할 것” 이라는 제사(題辭)개념가 내려왔다. 이 때문에 약정개념들이 모두 소홀히 여기지 않게 되었다.
本面約正李益華來 堰役軍人着實起送事分付 蓋役軍可能私得 而欲藉官令 花山縣山彔山銀所四面軍題給之意呈狀 則附近面量宜使役急時修築事題下 故約正輩皆不泛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