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61220"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7-01-12 | |양력=1697-01-12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612.pdf#page=7}}}}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 | }}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미정리]][[분류:수신]][[분류:가족]][[분류:경사]] |
2020년 2월 3일 (월) 23:02 기준 최신판
1696년 12월 20일 | ||
← 이전 | 다음 → | |
1696년 12월 19일 | 丙子년 辛丑월 壬寅일, 양력 1697-01-12 | 1696년 12월 21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6년 12월 20일 임인
二十日 壬寅
맑음
陽
윤동미(尹東美)인물와 양 <Term id="M220" name="별장">별장인물</Person>이 문소(聞簫)공간와 간두(幹頭)공간의 산소(山所)를 살펴보러 갔다. 두 곳 모두 대를 이어 장사지낼 자리가 없었고, 통포(桶浦)공간의 윤정화(尹鼎和)인물가 점찍은 곳도 보았는데 역시 쓸 만한 자리가 아니라고 한다. 이는 전부(典簿) 형님인물을 이장할 곳을 찾기 위한 것으로 종수(從嫂)인물의 간곡한 말씀이 있었기 때문이다. 북곶이[北串之]공간의 한 곳을 점찍어서 그림으로 그려 보여주는데, 용세(龍勢)와 형국(形局)이 자못 좋았다. 그러나 이곳이 과연 쓸 만한 땅인지는 잘 모르겠다.
尹東美與楊別將 往看聞簫幹頭山所 皆無繼葬之穴 見桶浦尹鼎和所占之山 亦非可用之處 盖爲典簿兄主移葬 有從嫂勤敎也 占得一山於北串之 圖形以示 龍勢形局頗好 未知此可爲果用之地否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