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61003"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6-10-28 | |양력=1696-10-28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610.pdf#page=2}}}} |
{{LayoutDiary | {{LayoutDiary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 | }}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선물]][[분류:농사]][[분류:의약]][[분류:질병]] |
2020년 2월 3일 (월) 23:02 기준 최신판
1696년 10월 3일 | ||
← 이전 | 다음 → | |
1696년 10월 2일 | 丙子년 己亥월 丙戌일, 양력 1696-10-28 | 1696년 10월 4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6년 10월 3일 병술
三日 丙戌
맑음
陽
윤익성(尹翊聖)인물이 와서 김동옥(金東玉)인물의 말로 물었더니, 혈독(血毒)에 침을 쓰는 것은 본래부터 꺼리는 방법인데, 지금 침물품을 맞으면 혈취(血聚)되는 우려가 끝도 없을 것이라 하였다. 이 말 또한 소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침을 맞지 않으면 달리 치료할 방법이 없으니 참으로 걱정이다.
尹翊聖來 以金東玉之言問之 則以爲血毒素忌針 今若施針 則恐有無限血聚之患云 此言亦不無所見 玆不令强針 他無可治之道 悶極悶極
○올 가을 팔마(八馬)공간의 전답에서 수조(收租)한 것은 704부 5속이다. 이삭이 패는 것은 자못 좋았으나 줄기가 무성하지 않았다. 그리고 농사짓는 사람들이 굶주려 제때 땅 갈고 씨 뿌려 김매기하지 못한 바람에 수확이 매우 줄었다. 안타깝고 안타깝다.
○今秋八馬畓收租七百四卜五束也 發穗頗好 而莖不茂 且緣作者之飢餓 不能趁時耕種鋤耘 故卜數甚縮 可嘆可嘆
○이두정(李斗正)인물이 왔는데 병 때문에 만나지 않았다.
○李斗正來 病不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