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6100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6-10-26 | |양력=1696-10-26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610.pdf#page=1}}}} |
{{LayoutDiary | {{LayoutDiary | ||
2020년 2월 3일 (월) 23:02 기준 최신판
1696년 10월 1일 | ||
← 이전 | 다음 → | |
1696년 9월 30일 | 丙子년 己亥월 甲申일, 양력 1696-10-26 | 1696년 10월 2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6년 10월 1일 갑신
一日 甲申
맑음
陽
김동옥(金東玉)인물이 왔다. 즉시 불러 들여 내 팔의 병을 보이니, 이는 비단 칠창(漆瘡)개념[1]만 원인이 된 것이 아니라 독혈(毒血)이 모인 탓이라고 하며, 부스럼 난 곳의 부기와 홍조가 없어지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하였다. 지금 탕제(湯劑)물품를 내복하고 고약(膏藥)물품을 겉에 붙여 효험을 보려 하지만 겨울을 보내도 차도를 보기 어려울 듯 하고 침으로 피를 뽑아 그 독을 해소하는 것이 더 좋다고 했다. 그래서 우선 몇 군데에 침을 놓아 시험해 보려고 곧바로 대여섯 곳에 침을 놓으니, 더러운 피(惡血)가 많이 나왔다. 윤익성(尹翊聖)인물에게 이어서 침으로 치료하게 할 것인데, 이것이 효험을 거둬 차도를 볼 수 있을지 모르겠다.
金東玉來 卽引入示吾臂病 則以爲此非但漆瘡爲祟 毒血留聚 瘡處之浮紅不減以此也 今欲以內服湯劑 外付膏藥責效 則雖經冬似難見差 不如針刺出血以解其毒 仍請先針數處以試之 卽令針刺五六處 惡血多出 將欲使尹翊聖繼此針治 未知此可以收效得差也
주석[ ]
- ↑ 칠창(漆瘡): 옻독이 올라 생기는 피부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