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5102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5-11-27 | |양력=1695-11-27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510.pdf#page=9}}}} |
{{LayoutDiary | {{LayoutDiary | ||
45번째 줄: | 45번째 줄: | ||
}} | }}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노비]][[분류:수신]][[분류:인물]][[분류:문예]][[분류:건축]][[분류:생사]][[분류:과거]][[분류:도적]][[분류:가족]][[분류:소식]][[분류:질병]] |
2020년 2월 3일 (월) 23:01 기준 최신판
1695년 10월 21일 | ||
← 이전 | 다음 → | |
1695년 10월 20일 | 乙亥년 丁亥월 庚戌일, 양력 1695-11-27 | 1695년 10월 22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5년 10월 21일 경술
二十一日 庚戌
아침에 비가 1보지락 정도 내리다가 늦은 아침에 갬
朝雨一黎 晩霽
성덕징(成德徵)인물이 왔다.
成德徵來
내가 며칠 전 침상에서 시 한 구절을 읊었는데 다음과 같다.
한 주먹 외로운 섬이 푸른 물결을 누르고
펼쳐진 경치가 보기에 싫증나지 않네
이것이 자라등을 타고 온 것인가
(…)
오늘 흥아(興兒)인물가 다음과 같이 차운(次韻)했다.
구비진 언덕 흔들흔들 물결위에 떠있고
(…)
맑은 파도 빼어난 봉우리 내 마음은 넉넉하고
백로는 바닷가를 다투어 나는구나
余於數日前枕上偶吟一絶曰
一拳孤島壓淸湍
景■森羅不厭看
疑是浮來鰲背骨
■■■■■江干
今日興兒次曰
曲阜搖搖泛水湍
風■■■■中看
澄波秀巘饒情意
白鷺爭飛渡海干
또 <Person id="P0114" name="김남식_처">괴산공간</Place>에서 보낸 답장을 보았다.
且見槐山答書
종아(宗兒)인물의 편지에 이르기를, 이현(李絢)인물이 수원공간에 사는데, 집안에 도적이 들어 칼에 찔려 죽었다 한다. 이 사람은 내 이종 아우이니 놀랍고 참담하기 그지없다. 금년에 도적으로 인한 근심이 많았지만 어찌 이 지경에 이를 줄 알았겠는가. 참혹하고 마음이 아프다.
宗兒書云 李絢居水原地 賊入家內被刀而死 此乃吾姨弟也 驚慘萬萬 今年賊患雖多 豈料至此耶 慘痛慘痛
○어제부터 벽에 진흙을 바르기 시작하여 오늘 마쳤다.
○壁泥昨日始役 今日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