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5080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5-09-13 | |양력=1695-09-13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508.pdf#page=7}}}} |
{{LayoutDiary | {{LayoutDiary | ||
42번째 줄: | 42번째 줄: | ||
}} | }}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송신]][[분류:인물]][[분류:역과]][[분류:잉유]][[분류:거왕]] |
2020년 2월 3일 (월) 23:01 기준 최신판
1695년 8월 6일 | ||
← 이전 | 다음 → | |
1695년 8월 5일 | 乙亥년 乙酉월 乙未일, 양력 1695-09-13 | 1695년 8월 7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5년 8월 6일 을미
六日 乙未
맑음
陽
최추익(崔樞翊)인물이 왔다.
崔樞翊來
윤익성(尹翊聖)인물이 5, 6일 머물다 갔다.
尹翊聖留五六日而去
정(鄭) 생(生)인물이 왔다.
鄭生來
○장흥공간 어산(語山)공간의 이기(李墍)인물가 왔다. 이 자는 수춘(守春)노비을 거두어 기른 주인이다. 그가 말하기를, “저는 수춘(守春)노비 모녀를 구제하여 살린 공이 있습니다.”라고 하며 인향(仁香)노비의 소생 1구(口)를 얻기를 청하였다. 내가 이르기를, “존(尊)께서 인향(仁香)노비이 우리 집 비(婢)인 줄을 안 뒤에 즉시 와서 고했으면, 존께서 말하지 않아도 내가 어찌 보답할 길을 생각하지 않았겠습니까. 이 경우는 그렇지 않습니다. 내가 스스로 추쇄하여 왔는데, 존께서 무슨 공이 있다고 그런 말을 합니까?”라고 하자, 이기가 “과연 제가 생각이 얕았습니다.” 하고는 다시는 말하지 않았다.
○長興語山李墍來 此乃守春收養之主也 言吾有守春母女救活之功 請得仁香所生一口 余謂尊旣知仁香之爲吾家婢子之後 若卽來告則 尊雖不言 吾豈不念酬報之道 此則不然 自吾推來 尊何功而出此言耶 李曰吾果不思矣 遂不復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