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50601"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5-07-11 | |양력=1695-07-11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506.pdf#page=1}}}}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 | + | [[분류:미정리]][[분류:제례]][[분류:방문]][[분류:변괴]][[분류:가족]][[분류:술수]][[분류:질병]] |
2020년 2월 3일 (월) 23:01 기준 최신판
1695년 6월 1일 | ||
← 이전 | 다음 → | |
1695년 5월 29일 | 乙亥년 癸未월 辛卯일, 양력 1695-07-11 | 1695년 6월 2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5년 6월 1일 신묘
一日 辛卯
흐리다 맑음
陰陽
낮에 설(薛) 생(生)인물과 함께 어초은(漁樵隱) 묘공간를 보았는데, 쌍룡(雙龍)의 기(氣)가 모인 곳이라 귀하기가 이를 데 없으며, 만대불패(萬代不敗)의 땅이라고 하였다. 다만 생방(生方)에 수파(水破)개념[1]가 있어 발복(發福)이 매우 지체되며, 또한 계속해서 묘를 쓸 만한 나머지 혈이 없어 무익하다고 했다.
午與薛生看漁樵隱墓 以爲雙龍合氣 貴不可言 萬代不敗之地 但水破生方 發福甚遲 且無餘穴繼葬 無益云
○아내인물가 병중에 얼음물품 생각이 난다고 해서 관아의 빙고공간에서 얻으려고 하니, 지키는 자가 한사코 거절하므로 다시 사람을 보내어 간신히 몇 덩이를 얻어 곧장 팔마(八馬)공간로 보냈다.
○室人病中思氷 求之於官氷 而守者牢拒 再送人 艱得數塊 卽送于八馬
○지평공간 용문사의 범종물품이 봄에 땀을 흘리며 울었고, 지난 4월 25일과 30일에 또 땀을 흘려서, 관찰사가 임금인물께 보고했다. 이것은 예사로운 범종이 아니고, 세조대왕의 어휘(御諱)가 종 위에 새겨져 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걱정한다.
○砥平龍門寺梵鍾 春間出汗自鳴 去四月卄五卅日又出汗 方伯啓聞 且此非尋常梵鐘 世祖大王御諱刻在鍾上 以此 人多憂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