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4110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4-12-21 | |양력=1694-12-21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411.pdf#page=2}}}}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3번째 줄: | 33번째 줄: | ||
<references/> | <references/> | ||
− | [[분류: | + | [[분류:증물]][[분류:상례]][[분류:내방]][[분류:조경]][[분류:문헌]] |
2020년 2월 3일 (월) 23:00 기준 최신판
1694년 11월 5일 | ||
← 이전 | 다음 → | |
1694년 11월 4일 | 甲戌년 丙子월 己巳일, 양력 1694-12-21 | 1694년 11월 6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4년 11월 5일 기사 동지
五日 己巳 冬至
흐림. 북풍(北風)이 심함
陰 北風緊
○각 곡식 종자물품를 각각 한 종지씩 10개의 주머니에 담아서 북쪽 창 밖에 묻었다. 대개 “가장 번식을 많이 하는 것이 그 해에 알맞은 종자”라는 『농사직설(農事直說)문헌』의 설[1]을 시험해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各穀種各一鐘子各貯十囊 埋于北窓外 蓋取農事直說最多息者歲所宜之說 欲試之也
○최상일(崔尙馹)인물이 왔다.
○崔尙馹來
주석[ ]
- ↑ 『농사직설(農事直說)』의 설: 『農事直說』, 「備穀種」, “欲知來歲所宜 以九穀種各一升 各盛布襄 埋於土宇中(勿令人坐臥其上) 後五十日 發取量之 息㝡多者 其歲所宜也 土氣隨地異宜 宜令各村里試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