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4072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jiamdiary
(import) |
(import)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양력=1694-09-15 | |양력=1694-09-15 | ||
}} | }} | ||
− | {{DivboxDiary}} | + | {{DivboxDiary|{{ButtonToggleTag}}|{{ButtonLoadPdf|pdfmark=jiamdiary169407.pdf#page=8}}}} |
{{LayoutDiary | {{LayoutDiary | ||
39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
− | [[분류:내방]][[분류: | + | [[분류:내방]][[분류:문예]][[분류:가족]][[분류:선물]][[분류:송신]][[분류:소식]] |
2020년 2월 3일 (월) 23:00 기준 최신판
1694년 7월 26일 | ||
← 이전 | 다음 → | |
1694년 7월 25일 | 甲戌년 壬申월 壬辰일, 양력 1694-09-15 | 1694년 7월 27일 |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4년 7월 26일 임진
二十六日 壬辰
흐림
陰
정(鄭) 생(生)인물이 왔다.
鄭生來
김태극(金太極)인물이 왔다.
金太極來
○ 민(閔) 상(相)인물의 절명사(絶命辭)는 다음과 같다.
또 짧은 서(序)를 지어 이르길, “예전에 소식(蘇軾)이 백대(栢臺)에서 시 두 편을 써서 옥졸(獄卒)에게 줬는데, 그것이 황제에게까지 전달되었습니다. 지금 신(臣)이 죽음을 앞두고 쓰는 글에는 바라는 바가 있지 않습니다. 다만 이로써 이 마음의 결백함을 드러낼 뿐입니다.” 라고 했다. 죽음을 앞두고 옥졸에게 써주어, 옥졸이 이를 퍼뜨렸다고 한다.
임금의 은혜가 바다와 같아
외로운 신하의 눈물은 황천에 사무치네
대낮처럼 환한 이 마음
한 번 죽어 푸른 하늘에 맡기리
또 짧은 서(序)를 지어 이르길, “예전에 소식(蘇軾)이 백대(栢臺)에서 시 두 편을 써서 옥졸(獄卒)에게 줬는데, 그것이 황제에게까지 전달되었습니다. 지금 신(臣)이 죽음을 앞두고 쓰는 글에는 바라는 바가 있지 않습니다. 다만 이로써 이 마음의 결백함을 드러낼 뿐입니다.” 라고 했다. 죽음을 앞두고 옥졸에게 써주어, 옥졸이 이를 퍼뜨렸다고 한다.
○閔相絶命辭
又作小序曰 昔蘇軾栢臺兩律書給獄卒 至於上徹 今臣臨絶之辭 非有所望 只以表此心之炳然耳 臨死書給獄卒 獄卒傳播云
聖主恩如海
孤臣淚徹泉
此心皎白日
一死付蒼天
又作小序曰 昔蘇軾栢臺兩律書給獄卒 至於上徹 今臣臨絶之辭 非有所望 只以表此心之炳然耳 臨死書給獄卒 獄卒傳播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