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990720(윤달)

jiamdiary
15.164.86.204 (토론)님의 2020년 2월 3일 (월) 23:05 판 (import)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1699윤720
← 이전 다음 →
1699년 윤7월 19일 己卯년 壬申월 丙辰일, 양력 1699-09-13 1699년 윤7월 21일


태그숨기기


원문이미지보기


1699년 윤7월 20일 병진
二十日 丙辰
맑음
진사(進士)개념 최시필(崔時弼)인물이 왔다. 어제 저녁 안형상(安衡相)인물이 인편을 통해 초대한 것이다.
崔進士時弼來 昨夕安因便請邀也
서유신(徐有信)인물 형제가 새벽에 갔다가 다시 왔다.
徐之兄弟曉去又來
창감(倉監)개념 이운재(李雲栽)인물소주물품와 삶은 물품을 보내왔다.
倉監以燒酒及烹鷄餽送
내가 간밤에 다음과 같은 절구를 읊었다.

깎아지른 기이한 바위 손바닥 모양으로 벌어진 곳에
절벽에 매달린 단청한 집 있으니 그 기세 우뚝하도다
인간 세상에 이처럼 진정한 신선 세계 있어
반나절 올라 완상하니 온갖 생각 사그라지네



최시필이 즉시 다음과 같이 차운(次韻)했다.

손바닥 합쳐 바위 되었다가 홀연히 다시 열린 곳
허공에 걸린 푸른 바위벽 울창하고 우뚝하네
중들이 말하길, 우객(羽客)이 종종 내려오면
간밤에 연단한 재가 남아 있었다네



안형상인물은 다음과 같이 차운했다.

하늘이 다듬은 깎아지른 만길 바위 벌어진 곳에
붉은 용마루 푸른 나무 나란히 우뚝하네
오늘 이곳에 오르니 맑은 유람하기 좋아
돌아가는 것 잊고 속세의 근심 다 사그라지네



그리고는 이 시들을 나란히 암자의 앞 기둥 벽에 썼다. 최(崔) 노(老)인물는 시를 잘 지으니 오면 반드시 웅얼웅얼 지껄일 것이기에, 내가 위의 시를 미리 지어 ‘먼저 시작하여 제압하는 계책’으로 삼았다. 그런데 최 노인물는 여기에 차운한 데다 4운(韻)의 시까지 지어 나에게 보여주었다. 나를 골탕 먹이려고 한 것이다. 그가 지은 시는 다음과 같다.

하늘이 손바닥 모양으로 벌렸다가 합쳐 만든 산
바위 속에 몇 칸 집 겨우 이루었네
예전에 한 약속 있으니 어찌 어기랴만
신선이 아니면 오를 수도 없었으리라
안기생(安期生)[1]의 집은 마고동(麻姑洞)에 있고
지로(支老)의 이름난 집 봉래산의 반열이네【내가 지암(支庵)이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황학(黃鶴)과 백운(白雲)을 읊은 천고의 흥에 겨워【자신을 '황학루(黃鶴樓)' 시를 지은 최호(崔顥)에 비유했다. 그 성을 기억한 것이다】
애써 머무느라 해가 기울도록 돌아가기를 잊었네

余於去夜口占一絶曰

削立奇巖掌樣開
懸崖畫閣勢崔嵬
人寰有此眞仙界
半日登臨萬念灰



崔卽次韻曰

合掌爲巖忽復開
半空蒼壁鬱崔嵬
僧言羽客時時到
前夜燒丹有死灰



安次曰

天琢巉巖萬仞開>
朱甍碧樹並崔嵬>
登臨此日淸遊足>
令我忘歸世慮灰



並書於庵之前楹壁上 崔老能詩 到來則必有唵哢之事 故余預構此 以爲先發制人之計 而崔旣次韻 又作四韻示我 蓋欲困我也 其詩曰

天開掌樣合爲山
巖裡纔成屋數間
曾有前期寧可負
也非仙分不能攀
安期家在麻姑洞
支老【以吾支庵故云】名編蓬島班
黃鶴白雲【自況於崔顥記其姓也】千古興
强留斜日却忘還

그러는 사이에 날이 벌써 저물어, 응답하여 수창할 새도 없이 곧장 산을 내려와 창촌(倉村)공간 앞에 이르러 길을 나누어 돌아왔다.
如是之際 日已暮矣 未暇酬應 卽下山到倉村前 分路而歸
이성(爾成)인물이 마침 와서 방문했다.
爾成適來訪
윤은좌(尹殷佐)인물도 왔다.
尹殷佐亦來
합장암공간은 언제 창건되었는지 모르겠으나, 예전에 남구만(南九萬)인물 상(相)이 전라도 어사였을 때 퇴락한 것을 안타까워하며 시와 기문을 짓고 관찰사개념 여성제(呂聖齊)인물에게 말하여 중건하게 했다. 그리고 작년에 관찰사개념 유득일(兪得一)인물이 다시 강진현에 명하여 중창하게 했다. 노승들 사이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옛날 어떤 도롱이를 입은 것 같은 우객(羽客)이, 밤이 깊어지면 내려와 주방에서 재를 헤치고 불을 피우려다가, 중이 가까이 다가가려고 하면 곧 보이지 않게 되곤 했다. 이와 같은 경우가 한두 번이 아니었으니, 필시 신선일 것이다.’라고 했다. 이 설은 황당무계하여 믿을 것이 못되나, 최 노인물가 시에서 ‘우객(羽客)’ 운운한 부분은 이 전설을 차용한 것이다】
【庵之設 未知創於何歲 而頃年卽今南相九萬爲本道御史時 惜其頹廢 作詩與記 言于方伯呂聖齊而重建 昨年方伯兪得一又令本縣更創焉 老僧相傳之言曰 昔有羽客如着蓑衣者 夜深下來 廚間撥灰撒火 僧欲近之則輒不見 如是者非一 必是仙人云 此說荒唐不可信 而蓋■■崔老詩羽客云云者 蓋用此也】























주석[ ]

  1. 동해의 선산(仙山)에서 살았다는 고대의 전설적인 선인(仙人)의 이름.